'출생통보제' 국무회의 통과…입법절차 본격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료기관이 아이 출생사실 통보해야
출생신고 누락 따른 부작용 방지
출생신고 누락 따른 부작용 방지
앞으로 아이가 태어난 의료기관의 장은 해당 시·읍·면의 장에게 출생 사실을 의무적으로 통보해야 한다. 시·읍·면의 장은 신고가 안 된 아이의 출생 사실을 직권으로 가족관계등록부에 기록해야 한다.
법무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출생 통보제도가 담긴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통과됐다고 발표했다. 법무부는 이 개정안을 4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해 6월 입법예고 이후 약 9개월 만에 본격적인 입법절차를 밟게 됐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국내 의료기관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의 출생 사실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다. 2020년 의료기관 분만 비중이 99.6%인 것을 고려하면 출생신고가 누락되는 일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출생 통보제도는 출생신고가 안 된 아이가 기본권리를 누리지 못한 채 방치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현 제도 아래에선 부모가 출생신고를 하지 않은 아이가 정규 교육이나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지난해 말 제주에서 세 자매(24세·22세·15세)가 출생신고가 안 된 채 장기간 살아오다 부친의 사망신고 과정에서 뒤늦게 알려진 사건이 대표적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출생신고가 안 된 아이는 방치·유기될 뿐만 아니라 신체적·성적·정신적 학대를 당할 가능성도 높다”며 “이번 개정안을 통해 출생신고 누락에 따른 인권 침해를 현격하게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법무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출생 통보제도가 담긴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통과됐다고 발표했다. 법무부는 이 개정안을 4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해 6월 입법예고 이후 약 9개월 만에 본격적인 입법절차를 밟게 됐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국내 의료기관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의 출생 사실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다. 2020년 의료기관 분만 비중이 99.6%인 것을 고려하면 출생신고가 누락되는 일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출생 통보제도는 출생신고가 안 된 아이가 기본권리를 누리지 못한 채 방치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현 제도 아래에선 부모가 출생신고를 하지 않은 아이가 정규 교육이나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지난해 말 제주에서 세 자매(24세·22세·15세)가 출생신고가 안 된 채 장기간 살아오다 부친의 사망신고 과정에서 뒤늦게 알려진 사건이 대표적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출생신고가 안 된 아이는 방치·유기될 뿐만 아니라 신체적·성적·정신적 학대를 당할 가능성도 높다”며 “이번 개정안을 통해 출생신고 누락에 따른 인권 침해를 현격하게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