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곧 초고령화 사회…대한민국의 앞날은
지난해 대한민국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전년보다 줄었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초(超)저출산 현상이 낳은 결과다. 출구는 보이지 않는다. 2003년 저출산고령화위원회를 출범시킨 이후 관련 대책에 약 200조원을 퍼부었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설령 올해부터 기적적으로 출산율이 급등한다고 가정해도, 새로 태어난 아이들이 경제활동인구가 될 때까지는 20년 넘게 걸린다. 어떻게 하든 적어도 20년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나라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얘기다.

인구 전문가인 전영수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가 쓴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는 ‘인구 절벽’ 사태를 맞은 한국의 향후 5년간 사회상을 전망하고, 개인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조언한다. 저자는 경제와 일자리, 도시정책, 주거, 교육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들며 최신 통계와 생생한 해외 사례를 기반으로 설득력 있는 통찰을 제시한다.

인구 감소는 국가 경제에 커다란 악재임이 분명하지만, 개별 기업 입장에서는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저자는 “인구는 줄어들어도 고객은 늘릴 수 있다”고 강조한다. “당장 길거리 광고판만 봐도 기업들이 재빠르게 인구 감소에 대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산부인과는 정형외과로, 독서실은 요양시설로, 인스턴트 식품은 건강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구 절벽으로 개인이 직면하는 가장 큰 변화는 주거 영역에서 일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눈에 띈다. 빈집은 늘고 지방을 중심으로 슬럼화가 진행된다. 노인들이 건강할 때부터 아플 때까지 한 집에서 계속 돌봄을 받을 수 있는 간병 부가형 단지(CRCC) 등 새로운 특화형 노인 주택들이 줄지어 들어서게 된다.

지방 발전을 통해 출산율을 올린 일본의 사례, 산업용 로봇 도입 등 자동화로 인구 감소의 충격을 완화하려는 외국의 정책 동향 등을 소개하는 대목에서는 다양한 분야에 걸친 저자의 식견에 감탄하게 된다. 다만 중간중간 논리의 비약이 보이는 건 옥에 티다. 지난해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한 이유로 고령화 현상을 꼽은 게 대표적이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