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단체연합, 3·8 세계여성의 날 앞두고 보신각서 기념행사
"모두의 내일을 위해, 오늘 페미니즘!"…제37회 한국여성대회
"모두의 내일을 위해, 오늘 페미니즘!"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세계여성의 날'(3월 8일)을 맞아 5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돌봄·연대·정의 - 모두의 내일을 위해 오늘 페미니즘'을 주제로 제37회 한국여성대회를 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방역 지침에 따라 참석자 200여 명이 보신각 앞 광장을 가득 메웠다.

참석자들은 "가라, 차별과 혐오! 오라, 성평등!", "여성의 삶이 미래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기념식에서는 여권 신장과 성평등 문화확산에 기여한 공로자들에 대한 시상도 이뤄졌다.

'올해의 여성운동상'은 방송작가 유니온(전국언론노동조합 방송작가 지부)이 받았다.

방송작가 유니온은 여성노동의 불안정한 현실을 드러내고 방송작가의 노동자성을 인정하는 법원의 결정을 끌어냈다고 주최 측은 설명했다.

특별상 수상자로는 고(故) 변희수 하사가 선정됐다.

변 하사의 투쟁은 생물학적 성별 이분법에 갇혀있는 한국사회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뒤흔들고, 남성 중심적이고 차별적인 군대에 맞서 트랜스젠더 군인의 존재를 가시화했다고 주최 측은 높이 평가했다.

"모두의 내일을 위해, 오늘 페미니즘!"…제37회 한국여성대회
'성평등 디딤돌'로는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 텔레그램성착취공동대책위원회 등이 선정됐다.

국방부와 문경시 등은 '성평등 걸림돌'로 꼽혔다.

국방부는 반복되는 군대 내 젠더 폭력에도 보여주기식 사과에 급급했으며, 문경시는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사업으로 이주여성의 인격권을 침해하고 출산 도구화했다고 주최 측은 지적했다.

여성단체연합은 또 '3·8 여성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뿌리 깊은 성차별적 사회 구조는 여전히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장기화된 코로나19 감염병과 대응 과정은 한국 사회의 차별과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진단했다.

이어 "평등한 일과 생활, 돌봄이 가능한 삶이 보장돼야 한다"며 "우리는 성차별적 기후위기, 불평등과 양극화를 심화한 기득권, 남성, 엘리트 중심 성장과 발전 패러다임의 환상을 거두고 '돌봄' 중심으로 사회경제체제를 바꿀 것"이라고 선언했다.

아울러 이들은 "성평등은 생물학적 성별인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 모두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우리는 3월 9일, 소수자에 대한 혐오를 팔아 정치적 기득권을 유지하는 남성 독점 기득권 정치를 심판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