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확진자 명부 따로 받지 않아…문자로 확인 후 투표"
본인여부 확인서·투표 관리록 등 근거로 추산 가능성…상당한 시간 소요 전망
21대 총선-4·7 재보선과 때는 별도 집계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규모 집계도 안됐다…"통합명부서 관리"(종합2보)
코로나19 확진·격리자의 사전투표가 관리 부실로 큰 혼란을 빚은 가운데 사전투표에 참여한 이들 확진·격리자의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초박빙 대결 양상을 보이는 이번 20대 대통령선거에서 실제 아주 근소한 차이로 당락이 갈린다면 관리 부실 논란이 나온 확진·격리자 투표분이 향후 정치적 후폭풍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곳곳에서 구멍이 숭숭 뚫렸던 이번 총체적 부실 관리 사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자·격리자 투표가 시작된 전날 오후 5시부터 투표 마감 시각까지 사전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는 모두 99만630명이다.

여기에는 오후 5시 이후 투표한 일반 유권자와 확진자, 격리자가 뒤섞여 있다.

5일 0시 기준으로 투표권이 있는 확진·격리자를 포함한 재택치료자 수는 총 102만5천973명이다.

이중 확진·격리 유권자의 규모는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선관위는 99만630명 중에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가 몇 명인지 집계하는 게 당장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선관위가 코로나 확진자나 격리자의 명단을 따로 전달받지 않았고, 전체 선거인단이 있는 '통합명부시스템' 안에서 확인해 투표하게 했기 때문이다.

확진자·격리자가 보건소로부터 받은 투표 안내 문자를 제시, 본인 여부 확인서를 작성하면 투표 사무원이 통합명부시스템에 있는 선거인인지 확인한 후 투표하는 방식이다.

게다가 확진자가 문자를 제시했다고 해도 선거인단 명부에 '확진자' '격리자'라고 별도 표시하지는 않는다.

명부시스템에서 바로 파악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의미다.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규모 집계도 안됐다…"통합명부서 관리"(종합2보)
현장에서의 관리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도 변수다.

정치권에 따르면 선관위 측은 이날 행정안전위원회 비공개 긴급 현안 보고에서 "원칙대로라면 확진·격리자를 '기타'로 구분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현장이 혼란스럽고 사람이 밀려드니 지침대로 안 한 곳이 굉장히 많다"며 정확한 집계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관위는 다만 "모든 투표소에서 투표 관리록이란 것을 써야 하는데 이 중 '별도 기재사항'에 확진·격리자 몇 명이 투표했다고 쓰라고 지침을 내렸다"며 "읍면동마다 관리록이 있으니 걷어서 집계해봐야 한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방안을 사용할 경우 정확한 확진·격리자 투표자 수는 집계하지 못하더라도 대략적인 규모는 알 수 있지 않겠냐는 것이 선관위의 입장이지만, 아직 집계 절차에 돌입하지 않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확진·격리자를 파악할 수 있는 다른 방안으로 '본인여부 확인서'가 거론되기도 한다.

이들이 기표 전 작성한 '본인여부 확인서'를 취합하면 추후 대략적인 규모 정도는 파악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다만 사전투표소가 3천552곳인데다 선관위가 당장 본인여부 확인서 역시 취합하고 있지 않아, 이 방법 역시 향후 집계 절차를 밟더라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앞서 지난 4·7 재보궐 선거에서는 정부가 격리자에 한해 사전 신청을 받아 투표하게 했고 시간도 오후 8시 이후에 투표했기 때문에 격리자 투표분이 집계가 됐다.

21대 총선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에는 확진자 폭증에 사전신청과 별도 명단 작성 등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부실 관리 논란이 인 확진·격리자 투표분 규모가 '깜깜이'가 되면서 결국 관련 논란이 자칫 향후 논란의 불씨가 될 수도 있다.

근소하게 당락이 갈리면 부정투표 의혹, 부실관리 논란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