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연준·ECB, 통화긴축 놓고 고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이어지자 신중 행보 가능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치솟는 원자재 가격과 서방 세계의 각종 제재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 성장세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물가 상승과 경제 저성장이 결합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커짐에 따라 다음 주 통화정책 결정을 앞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진단했다.
당초 연준과 ECB가 다가오는 통화정책 회의에서 빠르게 통화 긴축에 나설 것이라는 게 최근까지의 관측이었으나, 현재는 양대 중앙은행 모두 전쟁으로 달라진 경제 여건을 고려해 신중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미 지난주 미 의회 청문회에 참석해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혀 그동안 시장에서 떠돌던 0.5%포인트 인상설을 잠재웠다.
ECB도 물가 상승세가 최악의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통화정책에서 신중한 행보를 보일 것임을 시사해왔다.
이에 시장에선 ECB가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대신 0.1%포인트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졌다고 WSJ은 전했다.
시장의 이런 시각 변화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유럽은 최근 2년 사이 세 번째 경기침체에 직면할 위기에 놓였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경제 성장률이 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은 상대적으로 이번 사태의 영향을 덜 받겠지만, 물가 상승세가 소비지출과 경제성장을 압박하는 형국이다.
특히 원유와 금속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세계 경제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클레이스와 JP모건체이스는 최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포인트가량 내리고 대신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1%포인트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국제 유가가 현재보다 20달러 높은 수준이 계속 유지되면 유로존의 국내총생산(GDP)은 0.6%, 미국과 중국의 GDP는 0.3%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천연가스 수입이 중단되면 유로존이 GDP의 1%에 해당하는 경제적 타격을 받고, 전체 러시아산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면 그 충격의 규모가 GDP의 2.2%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나아가 러시아산 원유의 미국·유럽 수출이 완전히 중단되면 세계 경제성장률이 3%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970년대와 2007∼2008년에 유가 급등이 경기침체의 전조가 됐으나 지금은 다를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캐나다 상업은행인 '내셔널뱅크오브캐나다'에 따르면 물가를 고려할 시 국제 유가가 2008년 수준에 도달하려면 배럴당 170달러를 넘어야 한다.
130달러를 기록한 국제유가가 생각만큼 높은 수준은 아니라는 의미다.
'UBS 웰스 매니지먼트'의 폴 도너번 글로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소비 수요 감소로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세계가 과거만큼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전반적인 상황이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과는 부분적으로 닮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치솟는 원자재 가격과 서방 세계의 각종 제재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 성장세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물가 상승과 경제 저성장이 결합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커짐에 따라 다음 주 통화정책 결정을 앞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진단했다.
당초 연준과 ECB가 다가오는 통화정책 회의에서 빠르게 통화 긴축에 나설 것이라는 게 최근까지의 관측이었으나, 현재는 양대 중앙은행 모두 전쟁으로 달라진 경제 여건을 고려해 신중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미 지난주 미 의회 청문회에 참석해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혀 그동안 시장에서 떠돌던 0.5%포인트 인상설을 잠재웠다.
ECB도 물가 상승세가 최악의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통화정책에서 신중한 행보를 보일 것임을 시사해왔다.
이에 시장에선 ECB가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대신 0.1%포인트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졌다고 WSJ은 전했다.
시장의 이런 시각 변화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유럽은 최근 2년 사이 세 번째 경기침체에 직면할 위기에 놓였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경제 성장률이 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은 상대적으로 이번 사태의 영향을 덜 받겠지만, 물가 상승세가 소비지출과 경제성장을 압박하는 형국이다.
특히 원유와 금속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세계 경제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클레이스와 JP모건체이스는 최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포인트가량 내리고 대신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1%포인트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국제 유가가 현재보다 20달러 높은 수준이 계속 유지되면 유로존의 국내총생산(GDP)은 0.6%, 미국과 중국의 GDP는 0.3%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천연가스 수입이 중단되면 유로존이 GDP의 1%에 해당하는 경제적 타격을 받고, 전체 러시아산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면 그 충격의 규모가 GDP의 2.2%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나아가 러시아산 원유의 미국·유럽 수출이 완전히 중단되면 세계 경제성장률이 3%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970년대와 2007∼2008년에 유가 급등이 경기침체의 전조가 됐으나 지금은 다를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캐나다 상업은행인 '내셔널뱅크오브캐나다'에 따르면 물가를 고려할 시 국제 유가가 2008년 수준에 도달하려면 배럴당 170달러를 넘어야 한다.
130달러를 기록한 국제유가가 생각만큼 높은 수준은 아니라는 의미다.
'UBS 웰스 매니지먼트'의 폴 도너번 글로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소비 수요 감소로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세계가 과거만큼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전반적인 상황이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과는 부분적으로 닮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