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수 KT 융합기술연구원 팀장이 양자암호 네트워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선한결 기자
김형수 KT 융합기술연구원 팀장이 양자암호 네트워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선한결 기자
“차세대 보안기술 양자암호 시장을 일부 과학 기술 선진국만 독식하게 둘 수는 없습니다. 중간자 위치를 잘 활용한다면 한국도 양자암호로 승부를 볼 만 합니다.”

김형수 KT 융합기술원 팀장(사진)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양자암호 글로벌 표준을 주도하면 미국·독일·중국·일본 등 원천 기술 선두국들을 아울러 ‘큰 판’을 짤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팀장은 통신분야 세계 최대 규모 국제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 SG13의 한국 국가대표단 수석대표를 맡아 양자암호 네트워크 통신기술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 SG13은 전기통신 표준화부문 미래 네트워크연구반을 뜻한다.

양자암호는 물리학 등 기초 학문을 바탕으로 해 미국 등 일부 선진국이 기성 강자다. 하지만 한국도 양자암호 신시장에서 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김 팀장의 얘기다.

그는 “외국이 원천 기술·장비 개발에 몰두할 때 한국은 상용화 사업 모델에 집중하면서 서비스 표준을 주도하면 된다”며 “주요국이 자국 기술 노출을 극히 꺼려 국제적 표준 제안 등에 매우 소극적인 것도 역으로 보면 한국에 기회”라고 말했다. 독일과 일본이 각각 양자암호 통신 장비를 개발한다면, 양국간 주요 회의에 양자암호 통신을 적용할 때 연동 표준을 한국이 만드는 식이라는 설명이다.

김 팀장 등은 지난달 말엔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품질평가 기준으로 ITU로부터 국제 표준 승인을 받았다. 이 분야에서 표준 승인을 받은 세계 최초 사례다. KT는 2019년부터 양자암호 관련 국제 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ITU가 승인한 양자암호 통신 네트워크 표준의 절반이 KT가 내놓은 안일 정도다.

KT의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비즈니스 모델 등 두 건도 ITU 표준 최종 채택을 위해 회원국 회람 절차를 거치고 있다. 김 팀장은 “초반에 표준을 주도하면 이후 나른 나라에서 제시하는 안을 검토할 수 있는 권한까지 생기기 때문에 상당한 시장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표준을 국내 장비업체에 빠르게 적용해 양자암호 시스템을 국산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2019년 KT 주도로 국제 표준이 된 ‘개방형 계층구조’ 기술이 그런 예다. 기존 양자암호 키분배 네트워크의 체계를 분리해 일부를 특정 장비가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관리하는 일종의 플랫폼 형식 체계를 고안했다. 고난도 기술·장비를 보유한 기업이 아니더라도 양자암호 네트워크 체계에 들어올 수 있도록 구조를 효율화한 사례다.

이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사업 일환으로 열린 양자암호 인프라 구축 시범 사업에도 활용됐다. 이때 KT 융합기술원이 연구한 기술을 코위버, 우리넷 등 국내 중소장비업체에 이전하기도 했다. 성장 가능성이 큰 양자암호 산업에서 국내 중소기업들과 상생하기 위해서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국내 양자정보통신 시장 규모가 작년 1363억원에서 2025년엔 1조4051억원으로 약 10배 급증할 것으로 전망한다.

김 팀장은 “국제 표준을 많이 확보할 수록 생태계 확장 가능성이 커진다”며 “국내 중소기업과 파트너로서 함께 하며 양자암호 시장의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