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 석달뒤 지방선거 재격돌…또 박빙? 싹쓸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힘 우세론…"정권교체 바람으로 집권당에 힘 쏠릴 것, 민주 혼란"
민주 선전론…"팽팽했던 민심이 견제 택할 것…인물대결 양상도" 20대 대선에서 '혈투'를 벌인 여야가 불과 석달 뒤 열리는 6·1 지방선거에서 재격돌한다.
국민의힘이 일으킨 정권교체 '바람'이 지방선거까지 이어지며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던 지방권력 판도가 재편될지, 아니면 새 정권에 대한 견제론이 작동하며 민주당이 선전할 수 있을지를 두고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현재로서는 국민의힘이 더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윤석열 당선인이 5월 10일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불과 3주 만에 지방선거가 열리는 만큼, 대선 결과가 지방선거에까지 연동될 공산이 크다는 점에서다.
대선에서 윤 당선인을 선택한 민심이 새 정부 초기 집권 여당에 힘을 실어주려는 흐름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임기 초반 대통령 지지율이 높을 수밖에 없는 데다 '내가 뽑은 대통령'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집권당에 힘을 실어주는 유권자가 많을 것이라는 분석도 이런 예상에 힘을 싣고 있다.
국민의힘 후보들도 대통령을 등에 업은 '여당 후보'가 지역 숙원사업을 더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사람들의 투표 성향이 그렇게 단기간에 바뀌지 않는다"며 "대선 결과가 지방선거에 그대로 투영되면서 이긴 당이 싹쓸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민주당은 한동안 선거 패배를 수습하고 당을 재정비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패배 책임에 대한 갈등까지 불거질 경우 공천 등 지방선거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선거에 임할 수도 있다.
유용화 한국외대 초빙교수는 "대선에서 패배한 당은 내부 갈등과 권력 투쟁으로 지도부가 흔들리고 지지자들도 의기소침해서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대선이 근소한 차이로 결정된 만큼 국민의힘이 대선 승리를 지방선거 완승 동력으로 삼기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대선에서 확인된 팽팽한 구도가 지방선거에서 재현되면서 또다시 승부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대선에서는 정권교체에 힘을 실었던 유권자들이 지방권력에서는 어느 정도 야당 손을 들어주는 방식으로 견제할 수도 있다.
또 주목도가 높은 광역단체장의 경우 대선 승패보다 인물 경쟁력이 유권자들의 표심에 더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힘이 전략적으로 공을 들였는데도 여전히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것으로 확인된 호남으로 진출은 특히 더 아득해 보인다.
그간 사례를 보면 문재인 대통령 당선 약 1년만인 2018년 6월 13일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집권당인 민주당이 광역 시·도 지사 17곳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수도권을 포함해 14곳을 휩쓸었다.
자유한국당은 텃밭인 대구와 경북 2곳에 그쳤고, 제주에서는 당시 무소속이었던 원희룡 지사가 당선됐다.
민주당은 서울 구청장 25곳 중 24곳을 가져가는 등 구·시·군의 장 선거에서도 226곳 중 151곳을 장악했다.
임기 초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성과 등으로 문 대통령 지지율이 70%대를 오가고, 한국당이 국정농단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여파로부터 헤어나오지 못한 점 등이 승패를 좌우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러나 대선은 5년마다, 지방선거는 4년마다 있다 보니 대선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다.
박 전 대통령 당선(2012년 12월 19일)으로부터 약 1년 반 뒤에 치른 제6회 지방선거(2014년 6월 4일) 때는 새누리당이 총 17곳 중 8곳을,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9곳을 가져갔다.
이명박 대통령 임기 중반에 치른 제5회 지방선거(2010년 6월 2일)에서 심판론이 작동하면서 여당인 한나라당은 총 16곳 중 6곳에 그쳤다.
야당은 민주당 7곳, 자유선진당 1곳, 무소속 2곳이었다.
고(故) 노무현 대통령 임기 후반기에 치른 제4회 지방선거(2006년 5월 31일)는 열린우리당이 전북 1곳만을 가져가며 역대 집권당 중 최악의 참패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민주 선전론…"팽팽했던 민심이 견제 택할 것…인물대결 양상도" 20대 대선에서 '혈투'를 벌인 여야가 불과 석달 뒤 열리는 6·1 지방선거에서 재격돌한다.
국민의힘이 일으킨 정권교체 '바람'이 지방선거까지 이어지며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던 지방권력 판도가 재편될지, 아니면 새 정권에 대한 견제론이 작동하며 민주당이 선전할 수 있을지를 두고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현재로서는 국민의힘이 더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윤석열 당선인이 5월 10일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불과 3주 만에 지방선거가 열리는 만큼, 대선 결과가 지방선거에까지 연동될 공산이 크다는 점에서다.
대선에서 윤 당선인을 선택한 민심이 새 정부 초기 집권 여당에 힘을 실어주려는 흐름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임기 초반 대통령 지지율이 높을 수밖에 없는 데다 '내가 뽑은 대통령'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집권당에 힘을 실어주는 유권자가 많을 것이라는 분석도 이런 예상에 힘을 싣고 있다.
국민의힘 후보들도 대통령을 등에 업은 '여당 후보'가 지역 숙원사업을 더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사람들의 투표 성향이 그렇게 단기간에 바뀌지 않는다"며 "대선 결과가 지방선거에 그대로 투영되면서 이긴 당이 싹쓸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민주당은 한동안 선거 패배를 수습하고 당을 재정비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패배 책임에 대한 갈등까지 불거질 경우 공천 등 지방선거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선거에 임할 수도 있다.
유용화 한국외대 초빙교수는 "대선에서 패배한 당은 내부 갈등과 권력 투쟁으로 지도부가 흔들리고 지지자들도 의기소침해서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대선이 근소한 차이로 결정된 만큼 국민의힘이 대선 승리를 지방선거 완승 동력으로 삼기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대선에서 확인된 팽팽한 구도가 지방선거에서 재현되면서 또다시 승부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대선에서는 정권교체에 힘을 실었던 유권자들이 지방권력에서는 어느 정도 야당 손을 들어주는 방식으로 견제할 수도 있다.
또 주목도가 높은 광역단체장의 경우 대선 승패보다 인물 경쟁력이 유권자들의 표심에 더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힘이 전략적으로 공을 들였는데도 여전히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것으로 확인된 호남으로 진출은 특히 더 아득해 보인다.
그간 사례를 보면 문재인 대통령 당선 약 1년만인 2018년 6월 13일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집권당인 민주당이 광역 시·도 지사 17곳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수도권을 포함해 14곳을 휩쓸었다.
자유한국당은 텃밭인 대구와 경북 2곳에 그쳤고, 제주에서는 당시 무소속이었던 원희룡 지사가 당선됐다.
민주당은 서울 구청장 25곳 중 24곳을 가져가는 등 구·시·군의 장 선거에서도 226곳 중 151곳을 장악했다.
임기 초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성과 등으로 문 대통령 지지율이 70%대를 오가고, 한국당이 국정농단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여파로부터 헤어나오지 못한 점 등이 승패를 좌우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러나 대선은 5년마다, 지방선거는 4년마다 있다 보니 대선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다.
박 전 대통령 당선(2012년 12월 19일)으로부터 약 1년 반 뒤에 치른 제6회 지방선거(2014년 6월 4일) 때는 새누리당이 총 17곳 중 8곳을,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9곳을 가져갔다.
이명박 대통령 임기 중반에 치른 제5회 지방선거(2010년 6월 2일)에서 심판론이 작동하면서 여당인 한나라당은 총 16곳 중 6곳에 그쳤다.
야당은 민주당 7곳, 자유선진당 1곳, 무소속 2곳이었다.
고(故) 노무현 대통령 임기 후반기에 치른 제4회 지방선거(2006년 5월 31일)는 열린우리당이 전북 1곳만을 가져가며 역대 집권당 중 최악의 참패를 기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