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가 올해의 마지막달에도 국내 증시에서 '셀(Sell) 코리아'를 이어갔지만 SK하이닉스, 네이버 등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종목들은 적극 사들였다. 탄핵 정국에 강달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 속 외국인의 매수 종목에 관심이 쏠린다.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이달(30일 기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총 2조3267억원어치의 주식을 팔아치웠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7거래일을 제외하면 전부 매도 우위를 보였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예고한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에 더해 비상계엄 사태로 국내 정치 불안까지 맞물리자 외국인들이 국내 시장을 떠나고 있다는 분석이다.특히 원·달러 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외국인의 이탈을 부추겼다는 평가다. 지난 14일 윤석열 대통령에 이어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원화 가치는 속절없이 추락했다. 실제 원·달러 환율은 지난 27일 1480원을 돌파했다. 이 같은 고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인 2009년 3월 이후 15년9개월 만이다.이 같은 상황 속에서 외국인은 이달 SK하이닉스 주식 4289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그 결과 SK하이닉스는 이달 외국인 순매수 상위 1위에 이름을 올렸다.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를 이끄는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독점 공급하며 경쟁사보다 비교 우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메모리 반도체 업황 둔화에도 SK하이닉스는 내년에도 HBM을 중심으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스마트폰·PC 수요 둔화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재
외국인 투자자들이 올해 코스피 지수 부진 속에서도 게임주(株)인 크래프톤을 꾸준히 사모으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선 크래프톤이 올해 내내 탄탄한 실적을 보여준 데다, 올해 국내 증시 최대 악재로 꼽힌 고환율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외국인이 올 들어 지난 27일까지 1조원 이상 순매수한 6개 종목 중 하나다. 외국인은 이 기간 크래프톤 주식을 1조190억원어치 사들였다. 크래프톤은 외국인이 1조원어치 이상 산 종목 중 유일하게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크래프톤을 제외하면 현대차, SK하이닉스, HD현대일렉트릭,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물산이 외인의 관심을 받은 기업이다.이 때문에 연초 대비 외국인 지분율은 대폭 높아졌다. 연초 33%대였던 크래프톤의 외국인 지분율은 현재 42.3%로 약 9.2%포인트 늘었다.올해 국내 증시의 다양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거침 없이 올랐다. 지난해 말 19만원 수준이던 주가는 지난 8월 호실적 기대감에 35만원대까지 83% 뛰었다. 반면 지난 3일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에는 현재까지 주가는 0.1% 떨어지는 데 그쳤다.크래프톤은 국내 증시에서 대표적인 '실적주'로 꼽힌다. 간판 지적재산(IP)인 서바이벌 슈팅게임 '배틀그라운드'(이하 배그)의 꾸준한 인기 영향이다. 올해도 배그 덕에 3분기까지 누적 2조922억원의 매출로 창사 이후 처음으로 연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도 9670억원을 기록해 연간 1조원 돌파가 확실시된다.2017년 크래프톤의 '펍지 스튜디오'가 선보인 배그는 출시 직후 전 세계에서 '배그 열풍'을 일으키
홍콩H지수가 부진한 영향에 한동안 손실 구간에서 헤맨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손익률이 올 3분기엔 플러스로 전환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분기 ELS 수익률은 연 0.8%를 나타냈다. 2분기 대비 7.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홍콩H지수 ELS의 손실 조기·만기상환이 올 1~2분기에 집중돼 기저효과를 낸 영향이다. 2021년 2월 12,000대까지 오른 홍콩H지수는 올초 5100선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9월 말 7500선을 기록했다.9월 말 기준으로 원금 손실 발생 구간(녹인·knock-in)에 들어간 ELS 잔액은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파생결합증권 잔액(78조3000억원)의 0.4% 수준이다. 금감원은 “이 중 2000억원어치는 대부분 만기가 2026년 이후여서 손실 확정까지는 1년가량 남았다”고 설명했다.3분기 ELS 발행액은 9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0억원(5.2%)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 ELS, 지수형 ELS 발행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1.7%, 22.6% 급감한 4조2000억원, 5조7000억원이었다.선한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