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국제방산전시회 WDS 2022에 설치된 LIG넥스원의 부스. /사진=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국제방산전시회 WDS 2022에 설치된 LIG넥스원의 부스. /사진=연합뉴스
최근 방위산업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꿈틀거리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의 잇따른 군사적 도발 및 한국의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대북 정책 변화 가능성이 주목된 영향이다. 증권가에서도 방산 섹터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11일 오전 9시48분 현재 LIG넥스원은 전일 대비 900원(1.23%) 오른 7만3800원에, 한국항공우주는 200원(0.54%) 상승한 3만7500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동유럽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휴전 협상이 결렬됐고, 미국이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예고하면서 한반도에서의 긴장감도 고조된 영향이다.

10일(현지시간) 미 정부 고위당국자는 전화 브리핑을 통해 “지난달 26일과 이달 4일 북한이 시험발사한 탄도미사일은 비교적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이 같은 판단은 한미 당국이 함께 분석·협의한 결과라고 우리 국방부는 밝혔다. 미 행정부는 11일(현지시간)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발표도 예고했다.

특히 이번 한미 당국의 발표가 지난 9일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교체가 결정된 직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청와대가 최근 두 차례에 걸친 북한의 도발을 “미상의 발사체 시험”으로 표현했기에, 한국의 정권교체가 결정된 직후 미국이 현 정부의 인식을 바로잡았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한다.

다만 보수 정권의 대북 강경 노선이 한국의 방산기업들에 호재인지에 대해서는 증권가의 의견이 갈린다. 과거 보수 정권 시절의 국방예산 증가율이 민주당이 집권하던 시절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이봉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윤석열 정부에서는) 국외 무기 도입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해 “공약대로라면 (한국기업이 개발했거나 개발하고 있는) M-SAM이나 L-SAM의 비중이 줄고 사드와 SM-3가 늘면서 국내 기업으로 가는 예산보다 해외무기도입 예산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반면 이동헌 대신증권 연구원은 “보통 현재의 여당 정부에서 국방비 증액이 더 높은 특성을 보여왔지만, 방산주 주가는 대북관계에 따른 민감도가 더 높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한반도의 긴장 고조에 따른 주가 움직임보다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한국 방산기업들의 수출 확대 가능성에 더 주목했다. 세계 각국이 방위력 증강에 나서고 있기 떄문이다.

실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방위비 확대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욜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지난달 27일 군비 증강에 1000억유로(약 134조8900억원)를 즉각 투자하고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2%를 국방비로 지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일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국방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방침을 내놨다.

이 영향으로 방산기업 주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직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탔다. 지난달 24일 종가와 비교하면 LIG넥스원은 20.10%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8.20%가, 한국항공우주는 13.37%가, 한화시스템은 10.31%가 각각 상승했다.

한국 방산업계가 두각을 나타내는 지역은 중동이다. 이동헌 연구원은 “최근 미국이 중동에 대한 지배력을 줄여가며 (한국 방산기업들의) 중동 수주가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방부는 지난 8일 국내 방산기업들과 약 1조2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가 맺은 계약의 규모가 약 9846억원 규모로 가장 크고, 풍산과 LIG넥스원도 각각 1500억원 규모와 820억원 규모의 계약을 따냈다.

이에 앞서 한화디펜스는 이집트에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를, LIG넥스원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 4조2000억원 규모의 천궁Ⅱ를 각각 공급하기로 하는 계약을 맺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