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융당국, '뉴욕증시 퇴출 후보' 中 기업 리스트 첫 공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금융당국이 처음으로 뉴욕증시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있는 중국 기업 리스트를 내놨다. 미국에 상장한 270여개 중국 기업들은 상세한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상장이 폐지될 위기에 몰려 있다.
외국회사책임법은 2020년 12월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이다. 미국 증시에 상장한 외국 기업들에게 미국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의 감독을 받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미국은 2001년 엔론의 회계부정 사건 이후 상장사들에게 독립된 회계법인이 작성한 감사보고서를 PCAOB가 다시 검증받도록 하는 이중의 감시 체계를 마련했다. 상장사들은 감사보고서의 바탕이 되는 상세한 기업 현황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이 2013년 체결한 회계협정에 따라 미국 PCAOB가 아니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검증만 받으면 되는 예외를 인정받아 왔다. 하지만 2020년 초 '중국판 스타벅스'로 불리던 루이싱커피가 3억달러 규모의 매출을 부풀린 게 발각되면서 상장이 폐지되는 등 중국 기업들의 회계 불투명성 문제가 계속 제기됐고, 미중 갈등이 더욱 심화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은 회계협정을 파기했다.
어 의회도 사실상 중국 기업들을 겨냥한 조치로 평가되는 외국회사책임법을 입법했다. 다만 외국회사책임법은 3년 연속으로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기업들의 상장을 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제 중국 기업들의 퇴출이 시작되는 시점은 2021·2022·2023년 보고서를 내지 않은 게 확정되는 2024년 초다.
이날 공개된 리스트는 SEC가 외국회사책임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확인한 기업들이다. 2021년 실적을 공개했으나 상세 보고서는 제출하지 않아 법을 위반한 상태가 된 것이다. SEC는 이 리스트를 업데이트해갈 예정이다.
중국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회계협정을 파기할 때부터 반대 입장을 유지해 왔다. 이번 SEC의 리스트 발표에 대해 중국 증감위는 "일부 세력의 증권규제 정치화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기업의 문서에 대한 외국인의 접근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감사감독기관과 소통하고 있으며 양측이 세계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중국 기업들은 진퇴양난에 몰려 있다. 중국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정부의 승인 없이는 자국 회사가 외국에 회계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2013년 두 나라가 체결한 회계협정은 이런 중국의 규제 때문에 미국이 특례를 인정해준 것이다.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미국이 외국회사책임법을 시행한 이후인 지난해 7월 해외 상장 기업에 대한 통제 강화를 골자로 하는 ‘증권 위법 활동 엄격 단속 지침’을 내놓기도 했다. '해외에 상장된 중국 기업에 대한 감시 시스템을 확립한다'와 '국경을 넘는 정보 이동을 통제하고 해외 상장 기업에 비밀 유지 의무를 부과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외국회사책임법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의무를 명시한 것이다.
마이클 이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는 "중국이 기술기업들에 대한 규제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SEC의 리스트까지 나오면서 미국 상장 중국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한 층 커졌다"고 지적했다.
일부 중국 기업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홍콩에 2차 상장을 진행하고 있다. 알리바바, 징둥, 넷이즈 등이 홍콩에 중복 상장돼 있으며 신생 전기자동차 업체인 웨이라이(NIO)도 10일 홍콩에 입성했다. 이번에 리스트에 포함된 베이진은 뉴욕 외에 홍콩과 상하이에도 상장돼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올해 70여개의 미국 상장 중국 기업들이 홍콩에 2차로 상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중국기업도 미국 기관에 회계 검증 받아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10일(현지시간)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얌차이나, 바이오 기업인 베이진과 자이랩, 허치메드, 반도체 장비업체 ACM리서치 등 5개사를 '외국회사책임법' 적용 대상 리스트에 올렸다.외국회사책임법은 2020년 12월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이다. 미국 증시에 상장한 외국 기업들에게 미국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의 감독을 받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미국은 2001년 엔론의 회계부정 사건 이후 상장사들에게 독립된 회계법인이 작성한 감사보고서를 PCAOB가 다시 검증받도록 하는 이중의 감시 체계를 마련했다. 상장사들은 감사보고서의 바탕이 되는 상세한 기업 현황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이 2013년 체결한 회계협정에 따라 미국 PCAOB가 아니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검증만 받으면 되는 예외를 인정받아 왔다. 하지만 2020년 초 '중국판 스타벅스'로 불리던 루이싱커피가 3억달러 규모의 매출을 부풀린 게 발각되면서 상장이 폐지되는 등 중국 기업들의 회계 불투명성 문제가 계속 제기됐고, 미중 갈등이 더욱 심화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은 회계협정을 파기했다.
어 의회도 사실상 중국 기업들을 겨냥한 조치로 평가되는 외국회사책임법을 입법했다. 다만 외국회사책임법은 3년 연속으로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기업들의 상장을 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제 중국 기업들의 퇴출이 시작되는 시점은 2021·2022·2023년 보고서를 내지 않은 게 확정되는 2024년 초다.
이날 공개된 리스트는 SEC가 외국회사책임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확인한 기업들이다. 2021년 실적을 공개했으나 상세 보고서는 제출하지 않아 법을 위반한 상태가 된 것이다. SEC는 이 리스트를 업데이트해갈 예정이다.
중국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회계협정을 파기할 때부터 반대 입장을 유지해 왔다. 이번 SEC의 리스트 발표에 대해 중국 증감위는 "일부 세력의 증권규제 정치화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기업의 문서에 대한 외국인의 접근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감사감독기관과 소통하고 있으며 양측이 세계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진퇴양난 몰린 중국 기업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뉴욕에 상장된 270여개 중국기업의 시가총액이 2조달러(약 2465조원)를 넘으며, 이들이 퇴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기업들의 주가는 일제히 폭락했다. 얌차이나는 이날 15%, ACM리서치는 27% 급락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9%),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 아이치이(-22%) 등 리스트에 아직 들어가지 않은 기업들의 주가도 큰 폭으로 내렸다.중국 기업들은 진퇴양난에 몰려 있다. 중국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정부의 승인 없이는 자국 회사가 외국에 회계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2013년 두 나라가 체결한 회계협정은 이런 중국의 규제 때문에 미국이 특례를 인정해준 것이다.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미국이 외국회사책임법을 시행한 이후인 지난해 7월 해외 상장 기업에 대한 통제 강화를 골자로 하는 ‘증권 위법 활동 엄격 단속 지침’을 내놓기도 했다. '해외에 상장된 중국 기업에 대한 감시 시스템을 확립한다'와 '국경을 넘는 정보 이동을 통제하고 해외 상장 기업에 비밀 유지 의무를 부과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외국회사책임법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의무를 명시한 것이다.
마이클 이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는 "중국이 기술기업들에 대한 규제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SEC의 리스트까지 나오면서 미국 상장 중국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한 층 커졌다"고 지적했다.
일부 중국 기업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홍콩에 2차 상장을 진행하고 있다. 알리바바, 징둥, 넷이즈 등이 홍콩에 중복 상장돼 있으며 신생 전기자동차 업체인 웨이라이(NIO)도 10일 홍콩에 입성했다. 이번에 리스트에 포함된 베이진은 뉴욕 외에 홍콩과 상하이에도 상장돼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올해 70여개의 미국 상장 중국 기업들이 홍콩에 2차로 상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