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ICBM 발사장 확장 지시…'평양 공동선언'도 전면 파기 수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을 찾아 ‘위성 발사용 기지’로 현대화하라고 지시했다. 정찰위성 발사를 빌미로 이곳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할 것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이 4년간의 모라토리엄(핵실험·중장거리미사일 발사 잠정 유예) 폐기에 이어 2018년 평양 남북 공동선언도 전면 파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정은은 “(동창리 시험장은) 우리 국가의 원대한 우주 강국의 꿈과 포부가 씨앗처럼 묻혀있는 곳”이라며 대형 운반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발사장 구역과 로켓 총조립 및 연동 시험시설들을 개건·확장하도록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이어 “우주 정복의 전초기지로, 출발선으로 훌륭히 전변시키는 것은 우리 당과 우리 시대의 우주과학자, 기술자들의 숭고한 책무”라며 발동기지상분출시험장(로켓엔진 시험장) 능력 확장, 운반로켓 수송편리성 보장, 발사장 주변 생태환경 개선 및 야외발사 참관장 신설 등도 지시했다. 이날 시찰에는 김정식 군수공업부 부부장과 장창하 국방과학원장 등이 동행했다.
동창리 시험장은 북한이 여러차례 ICBM 관련 시험을 감행한 곳이다. 북한은 ‘서해위성발사장’이라 부르는 이곳에서 2012년 첫 ICBM인 ‘화성-13형’의 엔진 연소 시험을 진행했고, 같은해 위성을 탑재한 ICBM급 로켓 ‘은하 3호’ 발사, 2016년 ‘광명성호’ 발사 등을 진행했다. 약간의 리모델링 공사만 거치면 ‘화성-17형’ 등 신형 ICBM 발사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문재인 정부 임기 만료를 앞두고 2018년 평양공동선언을 전면 파기하는 수순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은 2018년 9월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는 문구가 포함된 평양공동선언에 합의했다. 평양공동선언 이후 같은해 발사장 내 이동식 건물과 로켓엔진 수직 시험대 해체 등이 포착되기도 했다. 해체된 시설들이 2019년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에 합의하지 못한 이후 상당 부분 복구된 것으로 전해졌지만 김정은이 직접 이 시설을 방문해 확장 공사를 지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김정은의 동창리 시찰 관련 보도는 한·미가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북한이 두차례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화성-17형이라고 평가한 발표와 같은 시간에 나왔다. 북한은 대선이 끝난 직후인 전날 오전에도 김정은이 국가우주개발국을 시찰하고 “5개년계획 기간 내에 다량의 군사 정찰위성을 태양동기극궤도에 다각 배치하겠다”고 말한 내용을 공개했다. 연쇄적인 ICBM 발사까지 시사하며 미국과 오는 5월 출범할 한국의 새 정부를 동시에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김 위원장이 직접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정찰위성 개발 및 발사가 빈말이 아님을 보여주면서 강력한 대미압박도 내포하고 있다”며 “한·미 군사훈련과 북한의 태양절(김일성 생일)이 겹치는 4월에 긴장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김정은은 “(동창리 시험장은) 우리 국가의 원대한 우주 강국의 꿈과 포부가 씨앗처럼 묻혀있는 곳”이라며 대형 운반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발사장 구역과 로켓 총조립 및 연동 시험시설들을 개건·확장하도록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이어 “우주 정복의 전초기지로, 출발선으로 훌륭히 전변시키는 것은 우리 당과 우리 시대의 우주과학자, 기술자들의 숭고한 책무”라며 발동기지상분출시험장(로켓엔진 시험장) 능력 확장, 운반로켓 수송편리성 보장, 발사장 주변 생태환경 개선 및 야외발사 참관장 신설 등도 지시했다. 이날 시찰에는 김정식 군수공업부 부부장과 장창하 국방과학원장 등이 동행했다.
동창리 시험장은 북한이 여러차례 ICBM 관련 시험을 감행한 곳이다. 북한은 ‘서해위성발사장’이라 부르는 이곳에서 2012년 첫 ICBM인 ‘화성-13형’의 엔진 연소 시험을 진행했고, 같은해 위성을 탑재한 ICBM급 로켓 ‘은하 3호’ 발사, 2016년 ‘광명성호’ 발사 등을 진행했다. 약간의 리모델링 공사만 거치면 ‘화성-17형’ 등 신형 ICBM 발사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문재인 정부 임기 만료를 앞두고 2018년 평양공동선언을 전면 파기하는 수순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은 2018년 9월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는 문구가 포함된 평양공동선언에 합의했다. 평양공동선언 이후 같은해 발사장 내 이동식 건물과 로켓엔진 수직 시험대 해체 등이 포착되기도 했다. 해체된 시설들이 2019년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에 합의하지 못한 이후 상당 부분 복구된 것으로 전해졌지만 김정은이 직접 이 시설을 방문해 확장 공사를 지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김정은의 동창리 시찰 관련 보도는 한·미가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북한이 두차례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화성-17형이라고 평가한 발표와 같은 시간에 나왔다. 북한은 대선이 끝난 직후인 전날 오전에도 김정은이 국가우주개발국을 시찰하고 “5개년계획 기간 내에 다량의 군사 정찰위성을 태양동기극궤도에 다각 배치하겠다”고 말한 내용을 공개했다. 연쇄적인 ICBM 발사까지 시사하며 미국과 오는 5월 출범할 한국의 새 정부를 동시에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김 위원장이 직접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정찰위성 개발 및 발사가 빈말이 아님을 보여주면서 강력한 대미압박도 내포하고 있다”며 “한·미 군사훈련과 북한의 태양절(김일성 생일)이 겹치는 4월에 긴장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