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재 민주당 의원은 11일 라디오에 출연해 이 상임고문에 대해 "국민적 기대가 있고 아직 나이도 젊다"며 "(6월 지방선거에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면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결국은 (윤석열 당선인과) 27만표 차이"라며 "(득표율로 보면) 출발선상은 완전히 같아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지층 사이에서는 서울시장 출마설과 당 대표 도전설이 거론됐다. 손혜원 전 의원은 이날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후보 시절 공약을 지금 민주당 의석수라면 다 할 수 있다"며 "(이 상임고문을)민주당에서 당 대표로 추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만약 당 대표가 아니라면 (오는 6월 1일 지방선거 때) 서울시장으로 나가시라"며 "(이것이) 민주당을 살리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 상임고문이 서울시장 출마나 당권 도전에 나설 경우 사실상의 대선 불복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 또 당내 주류 계파인 친문(친문재인)과의 갈등이 노출된 가능성도 있다.
이 상임고문은 연일 '메시지 정치'를 이어가고 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우리 모두 간절했고, 그랬기에 선거 결과에 마음 아프지 않은 분 또한 없을 것"이라며 "혹시 누군가를 탓하고 싶은 마음이 드신다면, 부디 이재명의 부족함만을 탓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재명이 진 것이지 새로운 대한민국에 대한 열망, 위기 극복과 국민통합을 바라는 시민의 꿈이 진 것이 아니다"라며 "더 나은 변화를 위한 길, 한 발 한 발 함께 걸어달라"고 덧붙였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