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2035년 엔진 퇴출' 공약 강행하나…車업계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기차 전환 5년 당겨야 하는데…"
자본·인력 부족…정부 지원 필수
내연기관 주력 부품 업계도 타격
"공약 수정 없인 대혼란 우려"
자본·인력 부족…정부 지원 필수
내연기관 주력 부품 업계도 타격
"공약 수정 없인 대혼란 우려"
내연기관 자동차의 신규 등록을 2035년부터 금지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에 국내 완성차업계가 비상이다. 신차 판매 기준 전기차 100% 전환 시점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인데, 10여 년밖에 남지 않아 혼란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각 완성차업체 대관 담당 조직은 윤 당선인의 ‘2035년 내연기관차 금지’ 공약이 나온 배경과 구체화 방향을 파악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환경부 출신 국민의힘 캠프 담당자가 공약을 제안한 것으로 안다”며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새 정부 국정과제에 그대로 포함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20대 대선 정책공약집에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내연기관차 신규 등록을 2035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공약이 그대로 국정과제가 되면 현대자동차는 당장 중장기 전동화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 앞서 현대차는 2030년 국내에서 전기차 29만 대를 판매하고, 전체 신차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35년엔 유럽 시장에서 먼저 100% 전동화를 달성한 뒤 2040년 미국 한국 등 다른 주요 시장에서도 100%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이다. 목표 수정과는 별개로 달성 가능성 자체가 의문이라는 분석도 많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신규 등록한 자동차 174만3212대 중 전기차는 10만439대로, 전체의 5.8% 수준이다. 신규 전기차 비중이 매년 늘고 있지만 10여 년 만에 이를 100%로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점차 전기차 보조금을 줄이는 추세인 데다 전기차 가격도 쉽게 내려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선 막대한 세금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국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도 클 전망이다. 전기차는 부품 수가 내연기관차보다 30%가량 적어 그만큼 생산 인력을 줄일 여지가 있지만 업체마다 ‘일자리 사수’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는 강성 노동조합이 버티고 있어 갈등이 불가피하다.
부품업체도 타격이 크다. 자동차산업연합회가 부품사 300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56.3%는 아직도 전기차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 진출 기업 중에서도 제품 생산까지 5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35.5%로 나타났다. 서울 등 대도시 아파트 위주의 충전 시설 역시 전기차 전면 전환에 걸림돌이다.
업계에선 공약을 유연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공약 방향에는 공감하지만, 속도가 문제”라며 “시한을 못 박아서 혼란을 가중할 것이 아니라 업계 의견부터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말했다. 2035년으로 시한을 정하면 하이브리드차량을 친환경차 분류에서 제외하지 않는 등 다양한 보완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13일 업계에 따르면 각 완성차업체 대관 담당 조직은 윤 당선인의 ‘2035년 내연기관차 금지’ 공약이 나온 배경과 구체화 방향을 파악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환경부 출신 국민의힘 캠프 담당자가 공약을 제안한 것으로 안다”며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새 정부 국정과제에 그대로 포함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20대 대선 정책공약집에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내연기관차 신규 등록을 2035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공약이 그대로 국정과제가 되면 현대자동차는 당장 중장기 전동화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 앞서 현대차는 2030년 국내에서 전기차 29만 대를 판매하고, 전체 신차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35년엔 유럽 시장에서 먼저 100% 전동화를 달성한 뒤 2040년 미국 한국 등 다른 주요 시장에서도 100%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이다. 목표 수정과는 별개로 달성 가능성 자체가 의문이라는 분석도 많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신규 등록한 자동차 174만3212대 중 전기차는 10만439대로, 전체의 5.8% 수준이다. 신규 전기차 비중이 매년 늘고 있지만 10여 년 만에 이를 100%로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점차 전기차 보조금을 줄이는 추세인 데다 전기차 가격도 쉽게 내려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선 막대한 세금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국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도 클 전망이다. 전기차는 부품 수가 내연기관차보다 30%가량 적어 그만큼 생산 인력을 줄일 여지가 있지만 업체마다 ‘일자리 사수’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는 강성 노동조합이 버티고 있어 갈등이 불가피하다.
부품업체도 타격이 크다. 자동차산업연합회가 부품사 300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56.3%는 아직도 전기차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 진출 기업 중에서도 제품 생산까지 5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35.5%로 나타났다. 서울 등 대도시 아파트 위주의 충전 시설 역시 전기차 전면 전환에 걸림돌이다.
업계에선 공약을 유연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공약 방향에는 공감하지만, 속도가 문제”라며 “시한을 못 박아서 혼란을 가중할 것이 아니라 업계 의견부터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말했다. 2035년으로 시한을 정하면 하이브리드차량을 친환경차 분류에서 제외하지 않는 등 다양한 보완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