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평성 논란 커지는 '윤석열표 1억 통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뜨거운 감자' 청년도약계좌
주식·채권·예금형 중 택1
정부, 月 최대 40만원 지원
10년 만기 채우면 1억 마련
尹측 '희망적금서 전환' 허용 검토
취업준비생 등은 가입 못해 논란
'최소 수십조원' 재원마련도 숙제
주식·채권·예금형 중 택1
정부, 月 최대 40만원 지원
10년 만기 채우면 1억 마련
尹측 '희망적금서 전환' 허용 검토
취업준비생 등은 가입 못해 논란
'최소 수십조원' 재원마련도 숙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청년 금융 공약으로 내세운 ‘청년도약계좌’를 놓고 젊은 층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달 출시돼 290만 명의 가입자를 모은 ‘청년희망적금’보다 지원 대상과 혜택의 폭이 훨씬 큰 데다 기존 가입자의 ‘갈아타기’까지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를 위해 투입돼야 할 막대한 정부 예산과 차등 지원에 따른 형평성 논란 등 걸림돌이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출시된 청년희망적금과 연령 조건은 동일하지만, 소득 제한을 없앤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청년희망적금은 직전 연도 총급여가 연 3600만원 이하일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다. 윤 당선인은 공약집에서 “부모의 증여 여부에 따라 자산 불평등이 심화되고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 가능성은 감소했다”며 “청년층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가 난립하고 있지만 기한 및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많은 청년층이 배제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장려금이 늘어나는 구조로 설계됐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의 가입자가 매달 30만원을 저축하면 기본 장려금(20만원)과 저축비례 장려금(최대 20만원)이 더해져 최대 70만원이 쌓인다. 연소득 2400만~3600만원과 3600만~4000만원 구간에서는 가입자가 각각 최대 50만원과 60만원을 넣을 수 있고, 정부 장려금은 각각 20만원, 10만원 한도로 지급돼 총 70만원이 채워진다.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가입자는 정부 지원 없이 비과세·소득공제 혜택만 받을 수 있다.
윤 당선인 측은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정부 장려금(2년 만기 기준 최대 36만원)에 비해 지원 혜택이 훨씬 크고, 비과세 등 최소 혜택만 받아도 연 3.5%의 금리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취업하지 못한 취업준비생이나 만 34세를 갓 넘긴 중·저소득층 청년들이 가입 대상에서 배제된 데 대해서도 벌써부터 ‘갑론을박’이 빚어지고 있다”며 “지원 혜택이 큰 만큼 이 같은 형평성 논란이 확대될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청년도약계좌 뭐길래
청년도약계좌는 윤 당선인의 청년 공약 가운데 하나로 10년 만기를 채우면 최대 1억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적금 상품이다.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70만원 한도 내에서 저축하면 정부가 소득에 따라 최대 40만원씩 추가 적립해 주는 방식이다. 투자 성향에 따라 주식형·채권형·예금형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거나 장기 휴직 등 사유가 있을 때 중도 인출 및 재가입도 가능하다.최근 출시된 청년희망적금과 연령 조건은 동일하지만, 소득 제한을 없앤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청년희망적금은 직전 연도 총급여가 연 3600만원 이하일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다. 윤 당선인은 공약집에서 “부모의 증여 여부에 따라 자산 불평등이 심화되고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 가능성은 감소했다”며 “청년층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가 난립하고 있지만 기한 및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많은 청년층이 배제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장려금이 늘어나는 구조로 설계됐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의 가입자가 매달 30만원을 저축하면 기본 장려금(20만원)과 저축비례 장려금(최대 20만원)이 더해져 최대 70만원이 쌓인다. 연소득 2400만~3600만원과 3600만~4000만원 구간에서는 가입자가 각각 최대 50만원과 60만원을 넣을 수 있고, 정부 장려금은 각각 20만원, 10만원 한도로 지급돼 총 70만원이 채워진다.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가입자는 정부 지원 없이 비과세·소득공제 혜택만 받을 수 있다.
윤 당선인 측은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정부 장려금(2년 만기 기준 최대 36만원)에 비해 지원 혜택이 훨씬 크고, 비과세 등 최소 혜택만 받아도 연 3.5%의 금리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십조원 예산 어쩌나…
다만 막대한 재원 조달 방안과 형평성 논란 등은 풀어야 할 숙제다.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290만 명이 모두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고 최소 지원금(10만원)만 받는다고 가정해도 매년 3조원의 정부 예산이 소요된다. 만 20~34세 취업자 전체(약 630만 명·지난해 7월 기준 통계청 자료)를 고려할 때 10년 만기 기준 소요 예산이 수십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이 나온다.금융권 관계자는 “취업하지 못한 취업준비생이나 만 34세를 갓 넘긴 중·저소득층 청년들이 가입 대상에서 배제된 데 대해서도 벌써부터 ‘갑론을박’이 빚어지고 있다”며 “지원 혜택이 큰 만큼 이 같은 형평성 논란이 확대될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