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현장을 방문, 탈원전 정책 전면 재검토와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등 원자력 공약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2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현장을 방문, 탈원전 정책 전면 재검토와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등 원자력 공약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이끌 새 정부의 원전 정책 기대감이 커지면서 관련 기업의 주가가 들썩이고 있다. 원전 부활이 예고되면서 투자자들의 수혜 기업 찾기가 분주하다. 다만 원자력 발전소는 계획에서 준공까지 10년 이상이 걸리는 장기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원전 방향성에 현실성을 더해 투자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한신기계는 전 거래일 대비 450원(7.72%) 오른 62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전 부품·소재 관련 기업인 한신기계는 이달 들어서만 40.34% 급등했다.

같은 기간 동안 한전KPS(17.36%), 두산중공업(10.40%), 한국전력(6.05%), 한전기술(5.81%) 등 원전 관련주도 일제히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원전주가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원자력으로 에너지 정책 방향이 선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백지화와 '원전 최강국 도약'이라는 정책 방향을 제시해왔다.

나민식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차기 정부에서 원전이 중요해진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다만 원전 관련종목은 이미 대선 이전부터 밸류에이션이 높아졌고 앞으로 2년간 여소아대 상황이 펼쳐질 것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방향만 놓고서 원전 종목에 투자하기 전에 투자방향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정부의 에너지 정책 관련 공약은 탄소중립 실현, 기후환경위기 대응, 원자력 발전 등으로 압축된다. 앞의 두 가지의 경우 직전 정부 정책과 크게 다른 점을 찾기 어렵고 상당 부분 궤를 같이 한다. 오히려 임기 내 석탄 등 화석연료 비중을 20%포인트 가량 추가 감축한다는 점에서 발전 믹스 변화를 가속화하겠다는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정책과 크게 달라지는 점은 원자력으로의 회귀라는 점이다. 탈원전 정책 폐기로 2030년 이전 운영허가 만료 원전은 계속 운전이 이뤄질 예정이며 신한울 3,4호기도 건설이 재개될 전망이다.

다만 원전 정책은 관성이 작용한다. 이전 정부의 계획이 차기 정부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원자력 발전소는 계획에서 준공까지 10년 이상이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5년 단임제 대통령 체제하에서는 계획에서 준공까지 일관된 원전 정책이 이어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전주 가운데 어느 곳을 주목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한국전력과 한전KPS의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내다봤다. 원자력발전소 설계 업체인 한전기술, 두산중공업은 장기적으로 봐야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차기 정부가 추진할 수 있는 방법을 초단기, 단기, 장기로 나눠 전망해보면 1년 안에 원전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방법이 있다. 원전 가동률이 올라가면 한국전력은 값비싼 LNG 발전 비중을 낮추면서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단기 전략은 노후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는 집권기간 이내에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노후원전이 계속 가동된다면 유지보수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

장기전략은 신규 원전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올해 신규로 계획한 원전이 건설준비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약 5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신규 원전에 대한 종합설계 용역계약이 체결된 시점부터 매출을 인식하는 원자력 발전소 설계 업체의 실적가시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나 연구원은 "원전 가동률이 올라가면 원가절감 효과만으로도 한국전력의 주가 상승이, 노후원전이 계속 가동된다면 유지보수업체인 한전KPS에 수혜가 예상된다"며 "반면 건설 준비 단계에서부터 매출을 인식하는 두산중공업과 한전기술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은 2028년 이후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