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株 뜬다는데…"단기 수혜 노리면 OO 담아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전, 장기 프로젝트…방향성·현실성 더해 투자해야" ·
단기 수혜주로 한국전력·한전KPS 제시
단기 수혜주로 한국전력·한전KPS 제시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한신기계는 전 거래일 대비 450원(7.72%) 오른 62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전 부품·소재 관련 기업인 한신기계는 이달 들어서만 40.34% 급등했다.
이처럼 원전주가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원자력으로 에너지 정책 방향이 선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백지화와 '원전 최강국 도약'이라는 정책 방향을 제시해왔다.
나민식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차기 정부에서 원전이 중요해진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다만 원전 관련종목은 이미 대선 이전부터 밸류에이션이 높아졌고 앞으로 2년간 여소아대 상황이 펼쳐질 것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방향만 놓고서 원전 종목에 투자하기 전에 투자방향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존 정책과 크게 달라지는 점은 원자력으로의 회귀라는 점이다. 탈원전 정책 폐기로 2030년 이전 운영허가 만료 원전은 계속 운전이 이뤄질 예정이며 신한울 3,4호기도 건설이 재개될 전망이다.
다만 원전 정책은 관성이 작용한다. 이전 정부의 계획이 차기 정부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원자력 발전소는 계획에서 준공까지 10년 이상이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5년 단임제 대통령 체제하에서는 계획에서 준공까지 일관된 원전 정책이 이어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차기 정부가 추진할 수 있는 방법을 초단기, 단기, 장기로 나눠 전망해보면 1년 안에 원전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방법이 있다. 원전 가동률이 올라가면 한국전력은 값비싼 LNG 발전 비중을 낮추면서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단기 전략은 노후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는 집권기간 이내에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노후원전이 계속 가동된다면 유지보수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
나 연구원은 "원전 가동률이 올라가면 원가절감 효과만으로도 한국전력의 주가 상승이, 노후원전이 계속 가동된다면 유지보수업체인 한전KPS에 수혜가 예상된다"며 "반면 건설 준비 단계에서부터 매출을 인식하는 두산중공업과 한전기술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은 2028년 이후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