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이용객 급감…속속 사라지는 시외버스터미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원 고속터미널 내달 1일 폐쇄
시외터미널과 통합 운영키로
김제 원평터미널 적자로 문닫아
폐업 터미널 지자체가 떠 안기도
시외터미널과 통합 운영키로
김제 원평터미널 적자로 문닫아
폐업 터미널 지자체가 떠 안기도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이용객이 급감한 지역 시외·고속버스터미널이 연이어 폐업 절차를 밟고 있다.
15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전북 남원시는 다음달 1일부터 고속버스터미널을 폐쇄하고 시외버스터미널과 통합 운영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승객이 코로나19 사태 전보다 절반가량 줄고, 수입이 쪼그라들자 운영사가 폐업을 결정했다”는 게 남원시의 설명이다.
코로나19 확산 전 남원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금호익스프레스·삼화고속 등 2개 회사가 서울·인천행 2개 노선에 버스를 하루 21차례 운행했다. 하지만 승객이 줄면서 1개 노선, 9회로 운행이 감축됐다. 시 관계자는 “남원터미널은 코로나19 전 하루평균 200명이 이용했지만 코로나19 창궐 후 100여 명으로 승객이 감소해 간신히 유지됐다”며 “농촌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든 데다 출장이나 여행을 위해 서울·인천을 오가던 지역민이 감염 등을 우려해 승용차 이용으로 선회한 게 부진의 주요인”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2020년 2월 이후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한 버스터미널은 전국적으로 상당수다. 전북 김제시 원평시외버스터미널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인한 적자를 못 이겨 운영사가 폐업한 뒤 지자체가 정류장 시설만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전남 영암군의 버스터미널 운영 업체가 문을 닫았다. 2020년 12월엔 충북 영동시외버스공용터미널, 같은 해 6월엔 경북 성주시외버스터미널이 잇따라 폐업했다.
지자체가 폐업 터미널을 떠안는 사례도 늘고 있다. 전남에서는 버스여객터미널 48곳 중 5곳을 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다. 폐업한 영암시외버스터미널을 영암군이 직영하는 게 대표 사례다. 전북 정읍시는 신태인버스터미널 사업자가 2019년 6월 폐업을 신고하자 다른 사업자를 찾았으나 코로나19 이후 운영하겠다는 업체가 나타나지 않자 지난해 1월부터 직영하고 있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전(2019년 2월 4일~2020년 2월 2일)과 비교해 확산 이후인 2020년 2월 3일부터 지난달 27일까지 시외버스는 1억6733만 명, 고속버스는 4402만 명의 승객이 줄었다. 같은 기간 매출도 시외버스는 1조6767억원(-57.6%), 고속버스는 7562억원(-50.1%) 감소했다.
터미널 이용객이 줄면서 매표 수수료 수입 감소와 함께 입점 상가의 수익도 줄어 터미널 운영업체의 경영난이 심각해졌다는 분석이다. 금호고속이 운영하던 남원버스터미널의 경우 직원 4명의 인건비조차 건지지 못했다는 게 남원시의 설명이다. 전라북도 관계자는 “가능한 한 거주민이나 교통약자의 발이 묶이지 않도록 지역 버스터미널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라며 “정비 사업을 통해 터미널 시설을 개선하고, 공영화 등을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남원=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
15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전북 남원시는 다음달 1일부터 고속버스터미널을 폐쇄하고 시외버스터미널과 통합 운영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승객이 코로나19 사태 전보다 절반가량 줄고, 수입이 쪼그라들자 운영사가 폐업을 결정했다”는 게 남원시의 설명이다.
코로나19 확산 전 남원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금호익스프레스·삼화고속 등 2개 회사가 서울·인천행 2개 노선에 버스를 하루 21차례 운행했다. 하지만 승객이 줄면서 1개 노선, 9회로 운행이 감축됐다. 시 관계자는 “남원터미널은 코로나19 전 하루평균 200명이 이용했지만 코로나19 창궐 후 100여 명으로 승객이 감소해 간신히 유지됐다”며 “농촌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든 데다 출장이나 여행을 위해 서울·인천을 오가던 지역민이 감염 등을 우려해 승용차 이용으로 선회한 게 부진의 주요인”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2020년 2월 이후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한 버스터미널은 전국적으로 상당수다. 전북 김제시 원평시외버스터미널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인한 적자를 못 이겨 운영사가 폐업한 뒤 지자체가 정류장 시설만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전남 영암군의 버스터미널 운영 업체가 문을 닫았다. 2020년 12월엔 충북 영동시외버스공용터미널, 같은 해 6월엔 경북 성주시외버스터미널이 잇따라 폐업했다.
지자체가 폐업 터미널을 떠안는 사례도 늘고 있다. 전남에서는 버스여객터미널 48곳 중 5곳을 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다. 폐업한 영암시외버스터미널을 영암군이 직영하는 게 대표 사례다. 전북 정읍시는 신태인버스터미널 사업자가 2019년 6월 폐업을 신고하자 다른 사업자를 찾았으나 코로나19 이후 운영하겠다는 업체가 나타나지 않자 지난해 1월부터 직영하고 있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전(2019년 2월 4일~2020년 2월 2일)과 비교해 확산 이후인 2020년 2월 3일부터 지난달 27일까지 시외버스는 1억6733만 명, 고속버스는 4402만 명의 승객이 줄었다. 같은 기간 매출도 시외버스는 1조6767억원(-57.6%), 고속버스는 7562억원(-50.1%) 감소했다.
터미널 이용객이 줄면서 매표 수수료 수입 감소와 함께 입점 상가의 수익도 줄어 터미널 운영업체의 경영난이 심각해졌다는 분석이다. 금호고속이 운영하던 남원버스터미널의 경우 직원 4명의 인건비조차 건지지 못했다는 게 남원시의 설명이다. 전라북도 관계자는 “가능한 한 거주민이나 교통약자의 발이 묶이지 않도록 지역 버스터미널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라며 “정비 사업을 통해 터미널 시설을 개선하고, 공영화 등을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남원=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