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증가세, 한풀 꺾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점에 가까워지는 모양새"
변이 확산에 유행 장기화 반론도
변이 확산에 유행 장기화 반론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증가 추세가 토요일 발생 기준으로 10주 만에 꺾였다. “정점에 가까워지는 모양새”란 해석과 “정점 여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2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신규 확진자는 33만4708명으로 집계됐다. 직전 일(38만1454명)보다 4만6746명 줄었고, 지난주 토요일(13일·35만184명)과 비교하면 1만5476명 감소했다.
전날보다 감소한 건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 효과’ 때문으로 볼 수 있지만, 토요일 발생 기준 확진자가 1주일 전보다 감소한 건 ‘정점에 다다랐다’는 신호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는 설명이다. 토요일 발생 기준 확진자가 직전주에 비해 줄어든 건 1월 9일 이후 10주 만이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가팔랐던 확진자 증가 추세가 한풀 꺾인 만큼 23일께 정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각에선 공식 확진자 937만 명(전 국민의 18.3%)에 통계에 잡히지 않는 무증상·경증 환자를 더한 실제 감염자는 전 국민의 30%를 넘어섰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 국민 백신 접종률은 2차 86.6%, 3차 63.1%다. ‘집단면역’이 형성돼 코로나19가 풍토병화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졌다는 것이다.
반면 이번 유행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잇따른 방역 완화 조치 탓에 확산을 막을 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변이가 세(勢)를 불리고 있어서다.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30% 정도 센 것으로 알려진 ‘스텔스 오미크론’(BA.2) 검출률은 지난달 17.3%에서 3월 둘째주 26.3%로 상승했다.
확진자 급증은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전날 사망자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327명이었다. 위중증 환자는 1033명으로 13일째 네 자릿수를 기록했다. 신규 감염과 사망자·위중증 환자 발생에 2~3주 시차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 20만 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진 지 2~3주가 되는 이번주부터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가 폭증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재택치료 환자 214만 명 중 고위험군 환자가 31만 명에 달하는 점도 향후 사망자 폭증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
2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신규 확진자는 33만4708명으로 집계됐다. 직전 일(38만1454명)보다 4만6746명 줄었고, 지난주 토요일(13일·35만184명)과 비교하면 1만5476명 감소했다.
전날보다 감소한 건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 효과’ 때문으로 볼 수 있지만, 토요일 발생 기준 확진자가 1주일 전보다 감소한 건 ‘정점에 다다랐다’는 신호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는 설명이다. 토요일 발생 기준 확진자가 직전주에 비해 줄어든 건 1월 9일 이후 10주 만이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가팔랐던 확진자 증가 추세가 한풀 꺾인 만큼 23일께 정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각에선 공식 확진자 937만 명(전 국민의 18.3%)에 통계에 잡히지 않는 무증상·경증 환자를 더한 실제 감염자는 전 국민의 30%를 넘어섰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 국민 백신 접종률은 2차 86.6%, 3차 63.1%다. ‘집단면역’이 형성돼 코로나19가 풍토병화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졌다는 것이다.
반면 이번 유행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잇따른 방역 완화 조치 탓에 확산을 막을 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변이가 세(勢)를 불리고 있어서다.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30% 정도 센 것으로 알려진 ‘스텔스 오미크론’(BA.2) 검출률은 지난달 17.3%에서 3월 둘째주 26.3%로 상승했다.
확진자 급증은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전날 사망자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327명이었다. 위중증 환자는 1033명으로 13일째 네 자릿수를 기록했다. 신규 감염과 사망자·위중증 환자 발생에 2~3주 시차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 20만 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진 지 2~3주가 되는 이번주부터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가 폭증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재택치료 환자 214만 명 중 고위험군 환자가 31만 명에 달하는 점도 향후 사망자 폭증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