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 '폐용제 재생 증류타워' 내달 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위 아스팔트 업체 ESG 경영
연간 1만8500t 고순도 재활용
유럽·美 반도체 시장 진출 검토
연간 1만8500t 고순도 재활용
유럽·美 반도체 시장 진출 검토
국내 1위 산업용 아스팔트 제조기업 한국석유공업이 반도체 세정액 등 폐유기용제 재생사업에 시동을 걸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본격화한다. 유기용제는 지방·고무 등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을 녹이는 석유화학 제품을 말한다.
21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업은 울산 공장에서 고순도 유기용제 재생 증류타워의 막바지 공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달 말 완공을 목표로 4960㎡(1500평) 규모 부지에 짓고 있는 3개의 증류타워 높이는 각각 50·40·30m다. 내부 증류 단수는 50·38·25단으로 구성돼 있다. 화학물질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한 증류타워는 높이가 높고 내부 단이 촘촘하고 많을수록 고순도 제품을 뽑아낼 수 있다는 평가다. 강승모 한국석유공업 부회장(사진)은 “한국석유공업의 유기용제 재생 증류타워는 울산화학단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가장 높고 촘촘한 증류타워로 우뚝 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석유공업의 증류타워는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공장 등에서 사용한 세정액, 식각액 등 다양한 폐유기용제를 받아서 끓인 뒤 증류해 99.7% 이상 고순도 재생용제로 만들어내는 공정에 사용된다. 다음달부터 본격 가동되는 증류타워의 연간 재생 용량은 1만8500t 규모에 달한다. 증류타워는 아직 가동 전이지만 예정된 전체 재생 용량의 80% 이상을 이미 국내 주요 석유화학 대기업에 판매 완료했다. 한국석유공업은 올 하반기 중으로 2차·3차 증류타워 증축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그는 “1차 증류타워 공사에서 기반 설비가 충분히 마련됐기 때문에 증축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은 1차 투자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유기용제 재생사업을 계기로 ESG 경영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유기용제를 한 번만 쓰고 폐기하는 것보다 재생해서 사용하는 경우 탄소배출량이 적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유럽연합(EU) 등에서는 일정 비율 이상의 재생 유기용제 사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분위기다. 한국석유공업은 유기용제 재생사업 수출도 추진하고 있다.
강 부회장은 “유기용제 재생시설은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공장과 지리적으로 가까워야 효율이 한층 높아진다”며 “유럽 미국 등 해외에 진출한 한국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공장 근처에 유기용제 재생공장을 짓고 협업하며 해외 매출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로 지난해 매출 6289억원, 영업이익 155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21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업은 울산 공장에서 고순도 유기용제 재생 증류타워의 막바지 공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달 말 완공을 목표로 4960㎡(1500평) 규모 부지에 짓고 있는 3개의 증류타워 높이는 각각 50·40·30m다. 내부 증류 단수는 50·38·25단으로 구성돼 있다. 화학물질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한 증류타워는 높이가 높고 내부 단이 촘촘하고 많을수록 고순도 제품을 뽑아낼 수 있다는 평가다. 강승모 한국석유공업 부회장(사진)은 “한국석유공업의 유기용제 재생 증류타워는 울산화학단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가장 높고 촘촘한 증류타워로 우뚝 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석유공업의 증류타워는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공장 등에서 사용한 세정액, 식각액 등 다양한 폐유기용제를 받아서 끓인 뒤 증류해 99.7% 이상 고순도 재생용제로 만들어내는 공정에 사용된다. 다음달부터 본격 가동되는 증류타워의 연간 재생 용량은 1만8500t 규모에 달한다. 증류타워는 아직 가동 전이지만 예정된 전체 재생 용량의 80% 이상을 이미 국내 주요 석유화학 대기업에 판매 완료했다. 한국석유공업은 올 하반기 중으로 2차·3차 증류타워 증축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그는 “1차 증류타워 공사에서 기반 설비가 충분히 마련됐기 때문에 증축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은 1차 투자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유기용제 재생사업을 계기로 ESG 경영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유기용제를 한 번만 쓰고 폐기하는 것보다 재생해서 사용하는 경우 탄소배출량이 적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유럽연합(EU) 등에서는 일정 비율 이상의 재생 유기용제 사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분위기다. 한국석유공업은 유기용제 재생사업 수출도 추진하고 있다.
강 부회장은 “유기용제 재생시설은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공장과 지리적으로 가까워야 효율이 한층 높아진다”며 “유럽 미국 등 해외에 진출한 한국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공장 근처에 유기용제 재생공장을 짓고 협업하며 해외 매출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로 지난해 매출 6289억원, 영업이익 155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