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愛 그린가치 2030' 선포 온실가스 감축 등 ESG 가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농어촌공사는 기후위기, 코로나19 등 세계적 위기와 불확실성에 대응해 지속 가능한 농어촌을 위한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지난해 3월 ‘농어촌애(愛) 그린(Green) 가치 2030’을 비전으로 선포했다. 녹색사회, 포용사회, 투명사회를 핵심 가치로 농어촌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구체적으로 농어촌공사는 자문기관인 ESG위원회를 구성하고, 전사적으로 126개 과제를 발굴해 실행했다. 지역 유관기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업체계를 구축해 ‘폐기물 업사이클링 ESG장바구니 캠페인’을 통해 지역사회에 ESG를 전파하는 노력도 추진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에너지 관련 사업을 적극 추진했다.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저수지를 활용한 대규모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를 조성했다. 민간 공모·제안 형태의 지역상생형 재생에너지사업을 추진해 재생에너지 466㎿를 개발했다. 온실가스 28만t을 감축한 것이라고 농어촌공사는 설명했다.
‘상생형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통해서는 작년 11개 농어가의 탄소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참여를 지원했다. 온실가스 약 5000t을 감축하고 농가당 연평균 800만원 수준의 부가소득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탄소저감을 위한 논 물관리 간단관개 방법론 개발에 힘쓰고, 생태계 복원사업, 수질 개선사업 등 친환경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활동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농어촌공사는 작년 장애인 채용을 198명에서 293명으로 크게 늘렸다. 사회형평적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청년농업인, 농촌융복합경영체 등 농어촌 핵심 인력 육성을 지원하고 저소득자 등 농어촌 취약계층을 채용해 농지투기 방지를 위한 농지정보 정비, 시설물관리 업무에 활용하는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해 농어촌 소득 안정화를 모색했다.
전국 54개 지구에 ‘농어촌형 공공서비스 거점’을 조성하고 도로정비, 다목적센터 등 생활 SOC시설 359곳을 공급해 428개 마을 32만 명에게 혜택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교통 인프라가 취약한 농촌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농촌형 교통모델사업’은 575만 명의 이용객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이는 ‘100원택시’라는 이름으로 미국 뉴욕타임스에 소개되기도 했다.
지배구조 개선도 주요 관심사다. 농어촌공사는 국민과 함께하는 공영기업을 실현하기 위해 지난해 소통채널 유형을 체계화했다. 농어민단체간담회, 농어촌물포럼 등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93개 지사에 청렴국민패트롤을 구성해 국민이 직접 공사의 청렴, 고객만족 분야를 점검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
이병호 농어촌공사 사장은 “지난해 공사의 ESG 방향을 정립했다면 올해는 공사 ESG의 도약기”라며 “ESG 경영 확산과 신성장사업 발굴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어촌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구체적으로 농어촌공사는 자문기관인 ESG위원회를 구성하고, 전사적으로 126개 과제를 발굴해 실행했다. 지역 유관기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업체계를 구축해 ‘폐기물 업사이클링 ESG장바구니 캠페인’을 통해 지역사회에 ESG를 전파하는 노력도 추진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에너지 관련 사업을 적극 추진했다.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저수지를 활용한 대규모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를 조성했다. 민간 공모·제안 형태의 지역상생형 재생에너지사업을 추진해 재생에너지 466㎿를 개발했다. 온실가스 28만t을 감축한 것이라고 농어촌공사는 설명했다.
‘상생형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통해서는 작년 11개 농어가의 탄소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참여를 지원했다. 온실가스 약 5000t을 감축하고 농가당 연평균 800만원 수준의 부가소득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탄소저감을 위한 논 물관리 간단관개 방법론 개발에 힘쓰고, 생태계 복원사업, 수질 개선사업 등 친환경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활동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농어촌공사는 작년 장애인 채용을 198명에서 293명으로 크게 늘렸다. 사회형평적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청년농업인, 농촌융복합경영체 등 농어촌 핵심 인력 육성을 지원하고 저소득자 등 농어촌 취약계층을 채용해 농지투기 방지를 위한 농지정보 정비, 시설물관리 업무에 활용하는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해 농어촌 소득 안정화를 모색했다.
전국 54개 지구에 ‘농어촌형 공공서비스 거점’을 조성하고 도로정비, 다목적센터 등 생활 SOC시설 359곳을 공급해 428개 마을 32만 명에게 혜택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교통 인프라가 취약한 농촌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농촌형 교통모델사업’은 575만 명의 이용객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이는 ‘100원택시’라는 이름으로 미국 뉴욕타임스에 소개되기도 했다.
지배구조 개선도 주요 관심사다. 농어촌공사는 국민과 함께하는 공영기업을 실현하기 위해 지난해 소통채널 유형을 체계화했다. 농어민단체간담회, 농어촌물포럼 등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93개 지사에 청렴국민패트롤을 구성해 국민이 직접 공사의 청렴, 고객만족 분야를 점검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
이병호 농어촌공사 사장은 “지난해 공사의 ESG 방향을 정립했다면 올해는 공사 ESG의 도약기”라며 “ESG 경영 확산과 신성장사업 발굴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어촌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