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SMR 거점도시로 도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30년까지 1조4457억 투입
두산중공업과 공급망 구축
기술혁신센터·특화산단 조성
소부장기업 기술개발도 지원
두산중공업과 공급망 구축
기술혁신센터·특화산단 조성
소부장기업 기술개발도 지원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의 최대 피해 지역으로 꼽히는 경남 창원시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중심의 원전산업 육성전략을 마련했다.
창원시는 2030년까지 1조4457억원을 투입해 두산중공업의 생산 및 공급망에 기반한 SMR 핵심 거점도시를 조성한다고 24일 발표했다.
SMR은 발전 용량 300메가와트(㎿) 안팎의 모듈형 원자로를 말한다. 크기가 대형 원전의 10분의 1에 불과해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한 뒤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규모가 작은 부지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증기발생기와 원자로, 냉각제 펌프 등을 일체화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고 사용 후 핵연료 배출 양도 적어 환경 악화에 대한 부담이 작다는 평가를 받는다.
창원시는 SMR 산업 육성 로드맵에 38개 핵심 사업을 담았다. 추진 전략은 해답(answer), 기술(technology), 조직(organization), 메이커(maker)의 머리글자를 따 ‘아톰(ATOM·원자)’으로 제시했다.
시는 먼저 원자력 기술과 안전, 환경에 관한 소통 및 기술혁신 공간을 구축해 원자력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원자력에너지 기술혁신센터와 창원 미래에너지 특화 산업단지 조성 등 관련 11개 사업에 9815억원을 투입한다.
기술 분야는 SMR 생산기술과 응용기술 연구를 추진한다. 미래원전 주기기(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발전기) 연구개발과 SMR 관련 시스템 실증사업 등 10개 과제로 총사업비는 3150억원이다.
핵심 거점기관인 미래에너지 연구소와 거버넌스도 구축할 계획이다. 관내 전기연구원·재료연구원과 손잡고 글로벌 협력 연구체계를 만들어 지원한다.
창원 미래에너지 연구소 구축, SMR 연구협력센터 구축,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미래원전 중소기업협의회 구축 등을 통해 SMR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예상 사업비는 657억원이다.
이 밖에 메이커 전략으로 원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육성 및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미래 원자력에너지 소부장 기업 특별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원자력에너지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를 지원하는 등의 사업에 83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창원에는 원전 핵심 기자재인 주기기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두산중공업이 자리 잡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원전 관련 거래 업체는 전국적으로 806개다. 이 가운데 269곳이 경남에 있으며, 170여 곳이 창원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원전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과 협력사는 심각한 경영 위기를 맞게 됐다. 이 때문에 창원 지역경제도 어려운 처지에 놓이면서 탈원전으로 인한 시민 및 기업의 피해를 정부가 보전하는 특별법 제정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지역 주력산업인 원전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산업의 빠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원전 협력업체 부품 생산 공급망의 강점을 살려 소형모듈원전 산업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
창원시는 2030년까지 1조4457억원을 투입해 두산중공업의 생산 및 공급망에 기반한 SMR 핵심 거점도시를 조성한다고 24일 발표했다.
SMR은 발전 용량 300메가와트(㎿) 안팎의 모듈형 원자로를 말한다. 크기가 대형 원전의 10분의 1에 불과해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한 뒤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규모가 작은 부지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증기발생기와 원자로, 냉각제 펌프 등을 일체화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고 사용 후 핵연료 배출 양도 적어 환경 악화에 대한 부담이 작다는 평가를 받는다.
창원시는 SMR 산업 육성 로드맵에 38개 핵심 사업을 담았다. 추진 전략은 해답(answer), 기술(technology), 조직(organization), 메이커(maker)의 머리글자를 따 ‘아톰(ATOM·원자)’으로 제시했다.
시는 먼저 원자력 기술과 안전, 환경에 관한 소통 및 기술혁신 공간을 구축해 원자력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원자력에너지 기술혁신센터와 창원 미래에너지 특화 산업단지 조성 등 관련 11개 사업에 9815억원을 투입한다.
기술 분야는 SMR 생산기술과 응용기술 연구를 추진한다. 미래원전 주기기(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발전기) 연구개발과 SMR 관련 시스템 실증사업 등 10개 과제로 총사업비는 3150억원이다.
핵심 거점기관인 미래에너지 연구소와 거버넌스도 구축할 계획이다. 관내 전기연구원·재료연구원과 손잡고 글로벌 협력 연구체계를 만들어 지원한다.
창원 미래에너지 연구소 구축, SMR 연구협력센터 구축,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미래원전 중소기업협의회 구축 등을 통해 SMR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예상 사업비는 657억원이다.
이 밖에 메이커 전략으로 원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육성 및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미래 원자력에너지 소부장 기업 특별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원자력에너지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를 지원하는 등의 사업에 83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창원에는 원전 핵심 기자재인 주기기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두산중공업이 자리 잡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원전 관련 거래 업체는 전국적으로 806개다. 이 가운데 269곳이 경남에 있으며, 170여 곳이 창원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원전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과 협력사는 심각한 경영 위기를 맞게 됐다. 이 때문에 창원 지역경제도 어려운 처지에 놓이면서 탈원전으로 인한 시민 및 기업의 피해를 정부가 보전하는 특별법 제정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지역 주력산업인 원전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산업의 빠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원전 협력업체 부품 생산 공급망의 강점을 살려 소형모듈원전 산업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