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발트해 소금 교역 주도한 네덜란드…한자동맹 제치고 세계 무역 강자 됐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8) 17세기 세계 경제 판도를 바꾼 소금
17세기 세계 경제사의 ‘승자’는 네덜란드였다. 그리고 그 성공의 배경에는 ‘소금’이 있었다.
조너선 이스라엘 런던대 교수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17세기 초중반 세계 무역을 주도하면서 다른 경쟁자들이 ‘잃어버린’ 교역 분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글로벌 교환 시스템이라는 계서제 사회에서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한 게 네덜란드였다. 사실상 일극체제의 허브로서 세계 유일의 물자창고 역할을 했다.
네덜란드가 국제교역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15세기 후반 발트해 교역에서부터다. 원래 스칸디나비아와 러시아, 발트해 주변 지역은 필요한 소금을 북독일이나 폴란드의 암염광산에서 생산된 것을 한자동맹 무역망을 통해 공급받아 사용했다. 하지만 15세기 후반부터 발트해의 소금 교역은 네덜란드인의 주무대가 되고 경쟁에서 밀린 한자동맹 도시들의 북해 주도권은 끝나게 된다. 채굴하기 어렵고 운반도 힘든 독일산 암염에 비해 양질의 바닷소금을 대량으로 운반한 네덜란드인들이 한자동맹과의 경쟁에서 이긴 것이다.
네덜란드인들은 서프랑스와 포르투갈, 스페인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바닷소금을 공급하며 부를 쌓았고, 이어 프랑스산 와인 등으로 교역 품목을 확대했다. 벌크선을 통한 각종 화물 교역도 점차 늘려나갔다.
이 같은 성공가도에 네덜란드의 조선업 경쟁력도 한몫했다. 16세기 후반 들어 네덜란드 선박은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경쟁국인 영국 배가 중무장한 채 사람을 많이 태우고 지중해를 가는 목적으로 튼튼하게 건조되는 데 중점을 뒀다면, 네덜란드 선박은 최소의 선원으로 최대의 경제효과를 얻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곧바로 화물유통 경쟁력의 차이로 이어졌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배의 소유권을 나누는 네덜란드만의 관행은 배의 건조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 1598년 앤트워프에서 멀리 아시아로 출항했던 22척의 함선 중 무사히 귀환한 것은 12척에 불과했을 만큼 여전히 원거리 교역은 위험한 일이었다. 함선의 소모가 많았던 점을 감안하면 네덜란드 조선 경쟁력의 위상은 더욱 커진다.
위기와 저항도 있었다. 17세기 합스부르크 스페인과 네덜란드가 대립하면서 스페인이 네덜란드 선박에 대한 엠바고를 시행했다. 이베리아반도산 소금 무역에서 네덜란드 상인이 축출된 것이다. 하지만 이 절호의 기회를 활용하려던 영국과 한자동맹 상인들은 선박 부족으로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결국 북유럽에서 소금 부족 현상이 심해지고 소금 가격이 급상승하는 부작용만 나타났다.
물론 각종 정치적 제약 속에서 네덜란드라고 마냥 성공만 한 것은 아니었다. 네덜란드는 1598년에서 1607년 사이엔 대서양 건너 카리브해까지 진출해 고급 소금을 구해다가 네덜란드 항구로 귀환, 교역을 재개한다. 하지만 합스부르크 스페인은 이런 네덜란드의 탈출구마저 봉쇄해 결국 카리브해 소금 유입이 줄어들고 이는 발트해 무역 감소와 청어 어업에 대한 타격으로 이어진다.
이베리아반도에서 소금을 얻기 힘들어지자 네덜란드는 1621년 이후 포르투갈산 소금 교역 비중을 줄이고 서프랑스산 소금으로 대체를 시도한다. 하지만 프랑스산 소금은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생선 저장용으로 부적합했고, 스칸디나비아와 네덜란드의 ‘청어항’들에서 수요를 맞추지 못하는 실패를 맛보기도 한다.
탄탄하게 자리 잡은 네덜란드에 비해 후발자로 뛰어든 영국은 우선 저가, 저질 제품 교역부터 담당하며 국제교역에서 말석이나마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중해 지역 의류 교역에서 네덜란드와 잉글랜드가 업무분장을 하는데, 네덜란드는 고급 의류와 직물, 향신료 등 고가품을 가지고 가서 팔았고 영국은 싸구려 의류를 판매하는 식이었다.
영국이 나름대로 노력해 우위를 차지한 분야도 과실은 네덜란드로 가는 일이 적지 않았다.
결국 네덜란드와의 정면대결을 택한 잉글랜드가 항해법(항해조례)으로 영국 배의 네덜란드 상품 운송을 금하지만 그 조치로 인한 타격은 단기적으론 영국이 더 컸다. 영국이 네덜란드를 제치고 무역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 원인은 1720년대 중상주의 등장에 따른 네덜란드의 쇠퇴나 무역 역량 탓이 아니었다. 양국 간 해군력의 차이나 잉글랜드가 다른 나라들과 협공해 네덜란드를 공략한 데 따른 복합적 결과라는 설명이다.
2. 물류의 핵심 수단이었던 네덜란드 배의 특징을 알아보자.
3. 네덜란드와 영국이 무역 주도권 경쟁을 벌인 역사를 알아보자.
조너선 이스라엘 런던대 교수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17세기 초중반 세계 무역을 주도하면서 다른 경쟁자들이 ‘잃어버린’ 교역 분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글로벌 교환 시스템이라는 계서제 사회에서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한 게 네덜란드였다. 사실상 일극체제의 허브로서 세계 유일의 물자창고 역할을 했다.
네덜란드가 국제교역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15세기 후반 발트해 교역에서부터다. 원래 스칸디나비아와 러시아, 발트해 주변 지역은 필요한 소금을 북독일이나 폴란드의 암염광산에서 생산된 것을 한자동맹 무역망을 통해 공급받아 사용했다. 하지만 15세기 후반부터 발트해의 소금 교역은 네덜란드인의 주무대가 되고 경쟁에서 밀린 한자동맹 도시들의 북해 주도권은 끝나게 된다. 채굴하기 어렵고 운반도 힘든 독일산 암염에 비해 양질의 바닷소금을 대량으로 운반한 네덜란드인들이 한자동맹과의 경쟁에서 이긴 것이다.
네덜란드인들은 서프랑스와 포르투갈, 스페인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바닷소금을 공급하며 부를 쌓았고, 이어 프랑스산 와인 등으로 교역 품목을 확대했다. 벌크선을 통한 각종 화물 교역도 점차 늘려나갔다.
이 같은 성공가도에 네덜란드의 조선업 경쟁력도 한몫했다. 16세기 후반 들어 네덜란드 선박은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경쟁국인 영국 배가 중무장한 채 사람을 많이 태우고 지중해를 가는 목적으로 튼튼하게 건조되는 데 중점을 뒀다면, 네덜란드 선박은 최소의 선원으로 최대의 경제효과를 얻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곧바로 화물유통 경쟁력의 차이로 이어졌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배의 소유권을 나누는 네덜란드만의 관행은 배의 건조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 1598년 앤트워프에서 멀리 아시아로 출항했던 22척의 함선 중 무사히 귀환한 것은 12척에 불과했을 만큼 여전히 원거리 교역은 위험한 일이었다. 함선의 소모가 많았던 점을 감안하면 네덜란드 조선 경쟁력의 위상은 더욱 커진다.
위기와 저항도 있었다. 17세기 합스부르크 스페인과 네덜란드가 대립하면서 스페인이 네덜란드 선박에 대한 엠바고를 시행했다. 이베리아반도산 소금 무역에서 네덜란드 상인이 축출된 것이다. 하지만 이 절호의 기회를 활용하려던 영국과 한자동맹 상인들은 선박 부족으로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결국 북유럽에서 소금 부족 현상이 심해지고 소금 가격이 급상승하는 부작용만 나타났다.
물론 각종 정치적 제약 속에서 네덜란드라고 마냥 성공만 한 것은 아니었다. 네덜란드는 1598년에서 1607년 사이엔 대서양 건너 카리브해까지 진출해 고급 소금을 구해다가 네덜란드 항구로 귀환, 교역을 재개한다. 하지만 합스부르크 스페인은 이런 네덜란드의 탈출구마저 봉쇄해 결국 카리브해 소금 유입이 줄어들고 이는 발트해 무역 감소와 청어 어업에 대한 타격으로 이어진다.
이베리아반도에서 소금을 얻기 힘들어지자 네덜란드는 1621년 이후 포르투갈산 소금 교역 비중을 줄이고 서프랑스산 소금으로 대체를 시도한다. 하지만 프랑스산 소금은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생선 저장용으로 부적합했고, 스칸디나비아와 네덜란드의 ‘청어항’들에서 수요를 맞추지 못하는 실패를 맛보기도 한다.
탄탄하게 자리 잡은 네덜란드에 비해 후발자로 뛰어든 영국은 우선 저가, 저질 제품 교역부터 담당하며 국제교역에서 말석이나마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중해 지역 의류 교역에서 네덜란드와 잉글랜드가 업무분장을 하는데, 네덜란드는 고급 의류와 직물, 향신료 등 고가품을 가지고 가서 팔았고 영국은 싸구려 의류를 판매하는 식이었다.
영국이 나름대로 노력해 우위를 차지한 분야도 과실은 네덜란드로 가는 일이 적지 않았다.
결국 네덜란드와의 정면대결을 택한 잉글랜드가 항해법(항해조례)으로 영국 배의 네덜란드 상품 운송을 금하지만 그 조치로 인한 타격은 단기적으론 영국이 더 컸다. 영국이 네덜란드를 제치고 무역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 원인은 1720년대 중상주의 등장에 따른 네덜란드의 쇠퇴나 무역 역량 탓이 아니었다. 양국 간 해군력의 차이나 잉글랜드가 다른 나라들과 협공해 네덜란드를 공략한 데 따른 복합적 결과라는 설명이다.
NIE 포인트
1. 네덜란드가 국제교역에서 두각을 나타낸 이유는 뭘까.2. 물류의 핵심 수단이었던 네덜란드 배의 특징을 알아보자.
3. 네덜란드와 영국이 무역 주도권 경쟁을 벌인 역사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