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 넣기 무섭다"…휘발유 이어 경유값도 '2000원 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제 경유 가격이 빠르게 오르면서 국내 주유소의 경유 가격이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다.
2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넷째주 주유소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15.6원 오른 L당 1918.1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8년 7월 넷째 주(1932원) 이후 약 14년 만에 최고가다. 서울 경유 가격은 주중 L당 2000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정유업계는 경유값 폭등이 경유 차량이 많은 유럽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수급 문제가 일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유 수입에서 러시아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이른다. 미국이 최근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를 내린 데 이어 EU에서도 관련 논의가 진행된 점도 국제 경유 가격을 밀어 올렸다는 분석이다.
전날 오후 기준 일일 평균 전국 주유소의 경유 판매 가격은 L당 1919.7원이었다. 전국에서 경유 가장 가격이 높은 곳은 제주도로, L당 2023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1998원이었다.
이달 넷째주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7.5원 오른 L당 2001.9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10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 2012년 10월 넷째주(2003.8원) 이후 최고가를 기록 중이다. 최고가 지역 제주도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9.1원 오른 L당 2108.2원, 최저가 지역 전북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6.3원 오른 1974.9원이었다.
국내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가격은 이번 주 배럴당 112.1달러로 전주보다 8.2달러 올랐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8.9달러 오른 배럴당 130.1달러, 국제 경유 가격은 21.3달러 오른 배럴당 147.5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정부는 내달 말 종료될 예정이었던 유류세 20% 인하 조치를 3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유류세 20% 인하 조치 시 이론상으로 L당 휘발유는 164원, 경유는 116원의 가격 하락 효과가 있다. 정부는 국제 유가 동향에 따라 유류세 인하 폭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2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넷째주 주유소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15.6원 오른 L당 1918.1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8년 7월 넷째 주(1932원) 이후 약 14년 만에 최고가다. 서울 경유 가격은 주중 L당 2000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정유업계는 경유값 폭등이 경유 차량이 많은 유럽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수급 문제가 일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유 수입에서 러시아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이른다. 미국이 최근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를 내린 데 이어 EU에서도 관련 논의가 진행된 점도 국제 경유 가격을 밀어 올렸다는 분석이다.
전날 오후 기준 일일 평균 전국 주유소의 경유 판매 가격은 L당 1919.7원이었다. 전국에서 경유 가장 가격이 높은 곳은 제주도로, L당 2023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1998원이었다.
이달 넷째주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7.5원 오른 L당 2001.9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10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 2012년 10월 넷째주(2003.8원) 이후 최고가를 기록 중이다. 최고가 지역 제주도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9.1원 오른 L당 2108.2원, 최저가 지역 전북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6.3원 오른 1974.9원이었다.
국내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가격은 이번 주 배럴당 112.1달러로 전주보다 8.2달러 올랐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8.9달러 오른 배럴당 130.1달러, 국제 경유 가격은 21.3달러 오른 배럴당 147.5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정부는 내달 말 종료될 예정이었던 유류세 20% 인하 조치를 3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유류세 20% 인하 조치 시 이론상으로 L당 휘발유는 164원, 경유는 116원의 가격 하락 효과가 있다. 정부는 국제 유가 동향에 따라 유류세 인하 폭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