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규 바이젠셀 대표 "감마델타 T세포로 내년 하반기 임상 신청 목표"
몸 속 T세포와 자연살해(NK)세포는 암세포를 무찌르는 군대에 비유된다. 후천면역계에 속한 T세포가 스나이퍼(저격수)라면 선천면역계에 있는 NK세포는 정확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적군이 보이면 일단 공격을 퍼붓는 포병 가깝다. 바이젠셀은 저격수 T세포와 포병 NK세포의 특성을 두루 갖춘 '감마델타 T세포'를 활용해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김태규 바이젠셀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나 "간암 등 고형암을 치료 분야(적응증)로 하는 감마델타 T세포 치료제(VR-GDT)로 내년 하반기 국내외에 임상을 신청하겠다"고 했다.

감마델타 T세포는 일반 알파베타 T세포와 달리 배양 난도가 높아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지 않다. 감마델타 T세포를 파고 드는 바이오벤처는 국내 바이젠셀과 미국 세포치료제 기업 에디셋바이오 정도로 전 세계에서 손에 꼽을 정도다. 대규모 배양을 하려고 들면 활성이 떨어지는 딜레마 때문이다.

김 대표는 "활성도 높은 감마델타 T세포를 대량 배양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바이젠셀은 올 2분기 국내에 감마델타 T세포를 비롯한 세포치료제 생산공장을 준공한다.

바이젠셀은 원하는 암세포를 표적해 공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 치료제도 일반 T세포가 아닌, 감마델타 T세포(VR-CAR)로 시도한다. 감마델타 T세포는 면역 부작용이 없어 환자 자신(자가)이 아닌 건강한 사람의 세포(동종)를 활용할 수 있다. 오는 2025년 임상 진입이 목표다. 김 대표는 "CAR 치료제가 혈액암 중심으로 개발됐지만 감마델타 T세포는 조직 침투력이 높아 고형암을 타깃으로도 개발이 가능하다"고 했다.

감마델타 T세포를 활용하는 '바이레인저' 파이프라인(후보물질)보다 진도가 빠른 건 일반 T세포를 이용한 '바이티어' 플랫폼이다. NK·T세포 림프구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림프종 치료제(VT-EBV-N)가 현재 임상 2상 중이다. 김 대표는 "국내에서 허가를 받는 2024년 중국에 합작법인(JV)을 세워 현지에서도 공동 개발과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국내 NK·T세포 림프종 시장은 500억원 정도로 크지 않지만, 중국은 1조6000억원에 이른다는 게 김 대표 설명이다. 적응증은 NK·T세포 림프종에 그치지 않고 위암, 식도암 등 고형암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또 다른 기대주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다. 제대혈 줄기세포에서 뽑아낸 골수유래 억제세포(MDSC)를 이용한다. 아토피는 체내 과도한 면역반응이 원인인데, 이를 억제해주는 원리다. 김 대표는 "내년 호주에서 임상 1·2a상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임상에 진입하면 전 세계에서 골수유래 억제세포로 아토피 치료제 임상을 하는 첫 회사가 된다"고 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