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신작 시집도 선보여
![최문자 시인](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AA.29441823.1.jpg)
《우리가 훔친 것들이 만발한다》 이후 3년 만에 내놓은 이번 시집은 한층 깊어진 시인의 사랑에 대한 탐구를 보여준다. 죽음과 상실로 인한 슬픔과 고통이 중심에 자리한 가운데 시인은 이를 성찰하고 숙성해 더 높은 경지로 승화시킨다.
‘단추들이 열리고 무엇이 사소하게 사라지는 것이라고/죽음을 그렇게 이해할 수 없었다/남편은 산 바깥으로 공을 넘기고 있었다/나는 죽음을 왜 자꾸 산맥이라 부르고 싶은가?’(‘공을 이해하기’ 중).
시집에 실린 시 곳곳에 남편을 비롯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을 담았다. 하지만 시인은 허무에 빠지지 않는다. 더 큰 사랑으로 이겨낸다. 그가 말하는 사랑은 개인의 경험을 넘어 공동체적 사랑으로 승화한다. 그리고 신이라는 종교적 층위까지 넘나든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AA.29439371.1.jpg)
시인은 “이곳은 도시적 삶을 살면서도 나의 시가 시골스러운 정서와 자연에 대한 서정을 갖게 한 중요한 모티프였다”며 “고향은 아니었지만 고향 이상의 문학적 토양이 되는 곳”이라고 했다.
폐암에 걸려 폐의 3분의 1을 잘라낸 경험, 갑작스레 남편을 떠나보낸 슬픔도 들려준다. “한 편의 시를 여러 번 깊이 읽었음에도 여전히 단일한 의미, 단일한 해석이 내려진다면 그 시는 비밀을 갖지 못한 것”이라고 시에 대한 생각도 말한다.
1982년 서른아홉의 나이로 등단한 그는 아홉 권의 시집을 내고 한성기문학상, 박두진문학상, 신석초문학상 등을 받았다. 협성대 총장을 지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