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해보험이 2013년 옛 그린손해보험의 자산·부채를 이전받아 출범한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 수년간 지속되고 있는 경영난으로 자본이 이미 잠식된 상태다. 대주주인 사모펀드 JC파트너스가 유상증자 등 금융당국의 적기 시정조치(경영 개선 명령)조차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30일 정례회의를 열어 MG손보가 제출한 경영 개선 계획을 승인하지 않았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MG손보의 지급여력비율(RBC)이 100%를 밑돌자 7월 적기 시정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JC파트너스 측이 자구안(1500억원 유상증자)조차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면서 올해 1월 다시 한 단계 격상한 경영 개선 명령을 의결했다.
JC파트너스는 작년 10월과 올해 1월 각각 194억원과 4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지만 당초 목표엔 턱없이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말 기준 RBC는 88.21%까지 떨어졌다.
MG손보의 만성적인 적자 구조는 지속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MG손보가 실적을 개선하기 위해 타사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보험상품을 많이 팔았고 그 탓에 장기적으로 손해율이 높아지면서 악순환에 빠졌다”고 했다.
새마을금고와 우리은행 등 JC파트너스에 자금을 댄 주요 재무적투자자(LP)들도 추가적인 자금 지원에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G손보는 2018년에도 RBC가 100%를 밑돌면서 이듬해 1000억원을 수혈받았다. 이 중 새마을금고가 300억원, 우리은행이 200억원을 각각 지원했다.
금융당국은 경영 개선 계획을 승인하지 않았지만 향후 MG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할 가능성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이다.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 대주주의 경영권이 박탈되고 재매각 등이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