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근시(回巹詩)


육십 년 세월, 눈 깜빡할 새 날아갔으나
복사꽃 무성한 봄빛은 신혼 때 같구려.
나고 죽는 것과 헤어지는 것이 늙기를 재촉하지만
슬픔은 짧았고 기쁨은 길었으니 은혜에 감사하오.
이 밤 목란사 노래 소리 더욱 좋고
그 옛날 치마에 먹 자국이 아직 남아 있소.
나뉘었다 다시 합하는 것이 참으로 우리 모습이니
한 쌍의 표주박을 남겨 후손에게 전합시다.



* 정약용(1762~1836) : 조선 후기 학자, 시인.
-------------------------------------
[고두현의 아침 시편] 그 신혼 치마에 먹물 자국이 아직…
다산(茶山) 정약용이 결혼 60주년을 기념해 지은 시입니다. 60회 기념일은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 15세에 부인 홍씨와 결혼한 지 딱 60년이 되는 날이죠. 하지만 회혼 잔치를 베풀려던 그날 아침, 안타깝게도 그는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74세의 파란만장한 삶이 잔칫상 사이로 잦아들었지요.

이 시는 그가 죽기 사흘 전에 쓴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생애 마지막 작품이군요. 이로부터 2년 후에 부인은 그의 뒤를 따랐습니다. 이 시에 나오는 부인의 ‘그 옛날 치마’란 조선 시대 여인들이 입던 하피(霞帔)를 말하지요.

아내 치마폭에 한 자씩 새긴 ‘하피첩’

다산은 유배 생활을 오래 했습니다. 전남 강진에서만 17년을 지냈지요. 귀양살이 10년째가 되던 해, 부인이 시집올 때 입었던 다홍치마 다섯 폭을 인편으로 보내왔습니다. 젊은 날 행복했던 시절을 떠올리며 남편에 대한 정을 치마에 담아 전하고 싶었을까요.

다산은 그런 뜻을 헤아려 치마를 70여 장의 서책 크기로 자르고 다듬었습니다. 요즘으로 치면 B5용지보다 조금 작은 크기였지요. 그 치마폭에 종이를 붙여 빳빳하게 만든 다음, 먹을 찍어 한 자 한 자 정성껏 글을 썼습니다.

이렇게 해서 완성한 것이 그 유명한 ‘하피첩(霞帔帖, 노을빛 치마로 만든 작은 책자)’이지요. ‘하피첩’ 서문에 다산의 심중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병든 아내가 낡은 치마를 보내왔네. 천 리 먼 길 애틋한 정을 담았네. 흘러간 세월에 붉은빛 다 바래서 만년의 서글픔 가눌 수 없네. 마름질해서 작은 서첩을 만들어 자식들 일깨우는 글귀를 써보았네. 부디 어버이 마음을 잘 헤아려 평생토록 가슴 깊이 새겨 두기를.’

신혼 때의 ‘그 옛날 치마’에서 병든 아내의 ‘천 리 먼 길 애틋한 정’과 ‘만년의 서글픔’을 함께 느끼는 유배객의 아픔이 절절하게 다가옵니다. 그런 중에도 정신을 가다듬어 두 아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을 적어 내려가는 아비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선비의 마음가짐과 남에게 베푸는 삶의 가치 등 평생 지킬 덕목을 하나씩 일깨우는 대목이 애잔하게 다가옵니다.

늘 말을 조심하고 근검하여라

그는 ‘하늘이나 사람에게 부끄러운 짓을 저지르지 않는다면 자연히 마음이 넓어지고 몸이 안정되어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우러나온다’며 ‘전체적으로 완전해도 구멍 하나만 새면 깨진 항아리이듯이 모든 말을 다 미덥게 하다가 한마디만 거짓말을 해도 도깨비처럼 되니 늘 말을 조심하라’고 당부했습니다.

또 ‘부지런함(勤)과 검소함(儉), 두 글자는 좋은 밭이나 기름진 땅보다 나은 것이니 평생 써도 다 닳지 않을 것’이라는 교훈을 전했지요. ‘흉년이 들어 하늘을 원망하는 사람이 있다. 굶어 죽는 사람은 대체로 게으르다. 하늘은 게으른 사람에게 벌을 내린다’는 가르침도 곁들였습니다.

이런 사연이 이 한 편의 시에 다 응축돼 있지요. 눈 깜빡할 사이에 지나간 60년 세월을 복사꽃 무성한 봄빛의 신혼 시절과 연결한 첫 구절도 신선하지만, 오랜 유배로 떨어졌던 두 사람이 다시 만나는 것을 ‘한 쌍의 표주박’을 합치는 것으로 표현한 마지막 비유 또한 의미심장합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