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성장 지키면서 금융안정·물가 잡는 묘책 요구되는 상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년의 임기, 격랑의 소용돌이 지나왔다"
"중앙은행 역할,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 논의 이뤄져야"
"차기 총재, 훌륭한 분…한은이 더 발전하는 모습 보게 되길"
"중앙은행 역할,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 논의 이뤄져야"
"차기 총재, 훌륭한 분…한은이 더 발전하는 모습 보게 되길"
"성장을 지키면서도 금융안정과 함께 물가를 잡을 수 있는 묘책이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1일 이임사를 통해 "가계부채 누증 등 금융 불균형이 심화하고 금융위기 이후 사라져 버린 줄 알았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나타났다"며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바람직한 정책체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또다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 8년의 임기 동안 굵직한 사건들이 끊이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세월호 사고, 메르스 사태, 브렉시트, 미·중 무역 갈등과 세계화의 후퇴, 급기야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세계 보건 위기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그야말로 격랑의 소용돌이를 지나왔다"며 "오죽하면 저명한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가 경제전망을 점성술에 비유했을 정도"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코로나 위기 이후 경제예측이 어긋나고 정책의 일관성이 떨어졌다는 비판에 시달리고 있는데, 이는 높은 불확실성에 기인한다"며 "국민의 신뢰가 통화정책의 성과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중앙은행의 숙명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 8년의 임기 동안 새로운 거시경제 환경에서 통화정책을 운용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장기간 이어졌음에도 세계 경제가 저성장·저물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상황은 경제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한다는 말이 나오게 하기에 충분했다"며 "이러한 수수께끼는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더 복잡해지고 난해한 고차방정식이 되어버렸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의 역할도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는 "최근 고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통화정책 운용에 이를 어떻게 반영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준재정적 활동에 중앙은행의 참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고, 일부에선 중앙은행이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중앙은행 대응은 이미 정책 수단의 개발과 이행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여러 사회문제 해결에 경제적 처방을 동원할수록 중앙은행에 대한 기대와 의존은 계속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경제구조나 제반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게 되면 중앙은행 역할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며 "중앙은행으로서의 본연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앞으로의 역할을 어떻게 정립해 나갈 것인지 깊이 있는 연구와 논의가 이뤄져야 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총재로 지목된 이창용 차기 총재에 대해선 "빼어난 인품과 뛰어난 식견을 갖춘 훌륭하기 이를 데 없는 분이라 생각한다"며 "새 총재님의 풍부한 경륜이 여러분들의 열정과 결합해 한국은행이 더욱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게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끝으로 이 총재는 법정 스님의 '아름다운 마무리'라는 책을 인용했다. 그는 "내가 걸어온 길 말고는 나에게 다른 길이 없었음을 깨닫고, 그 길이 나를 성장시켜 주었음을 긍정하고 감사하는 것이 아름다운 마무리라고 쓰여 있다"며 "한없는 고마움과 감사의 마음을 간직하고 세인의 이목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으로 돌아가려 한다"고 밝혔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1일 이임사를 통해 "가계부채 누증 등 금융 불균형이 심화하고 금융위기 이후 사라져 버린 줄 알았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나타났다"며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바람직한 정책체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또다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 8년의 임기 동안 굵직한 사건들이 끊이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세월호 사고, 메르스 사태, 브렉시트, 미·중 무역 갈등과 세계화의 후퇴, 급기야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세계 보건 위기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그야말로 격랑의 소용돌이를 지나왔다"며 "오죽하면 저명한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가 경제전망을 점성술에 비유했을 정도"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코로나 위기 이후 경제예측이 어긋나고 정책의 일관성이 떨어졌다는 비판에 시달리고 있는데, 이는 높은 불확실성에 기인한다"며 "국민의 신뢰가 통화정책의 성과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중앙은행의 숙명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 8년의 임기 동안 새로운 거시경제 환경에서 통화정책을 운용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장기간 이어졌음에도 세계 경제가 저성장·저물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상황은 경제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한다는 말이 나오게 하기에 충분했다"며 "이러한 수수께끼는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더 복잡해지고 난해한 고차방정식이 되어버렸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의 역할도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는 "최근 고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통화정책 운용에 이를 어떻게 반영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준재정적 활동에 중앙은행의 참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고, 일부에선 중앙은행이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중앙은행 대응은 이미 정책 수단의 개발과 이행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여러 사회문제 해결에 경제적 처방을 동원할수록 중앙은행에 대한 기대와 의존은 계속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경제구조나 제반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게 되면 중앙은행 역할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며 "중앙은행으로서의 본연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앞으로의 역할을 어떻게 정립해 나갈 것인지 깊이 있는 연구와 논의가 이뤄져야 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총재로 지목된 이창용 차기 총재에 대해선 "빼어난 인품과 뛰어난 식견을 갖춘 훌륭하기 이를 데 없는 분이라 생각한다"며 "새 총재님의 풍부한 경륜이 여러분들의 열정과 결합해 한국은행이 더욱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게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끝으로 이 총재는 법정 스님의 '아름다운 마무리'라는 책을 인용했다. 그는 "내가 걸어온 길 말고는 나에게 다른 길이 없었음을 깨닫고, 그 길이 나를 성장시켜 주었음을 긍정하고 감사하는 것이 아름다운 마무리라고 쓰여 있다"며 "한없는 고마움과 감사의 마음을 간직하고 세인의 이목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으로 돌아가려 한다"고 밝혔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