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골프공 대명사' 볼빅은 왜 실패했나
‘컬러 골프공의 아버지’로 불리는 문경안 볼빅 회장(64)이 티 박스에서 내려왔다. 공격적인 마케팅과 사업영역 확장 탓에 회사 재무구조가 엉망이 된 탓이다. 결국 경영권은 벤처캐피털에 넘어갔고, 문 회장도 지휘봉을 내줬다.

1일 골프업계에 따르면 볼빅은 지난달 30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화장품 제조업체인 제닉 부대표를 지낸 홍승석 씨를 신임 대표로 선임했다. 문 회장은 사내이사직에서 사임했다. 문 회장의 퇴임은 사실상 예고된 일이었다. 밴처캐피털인 TS인베스트먼트가 238억원을 들여 전환우선주 등 전체 지분의 54%를 획득해 새로운 주인이 됐기 때문이다. 문 전 회장은 결국 고문으로 물러나며 2선으로 후퇴했다.

문 전 회장은 2000년대 중반까지 ‘싸구려 공’을 만들던 볼빅을 국내 최고 골프공 브랜드로 일으켜 세운 인물이다. ‘볼빅=문경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볼빅과 문 회장은 하나였다. 철강회사 비엠스틸을 이끌던 그는 2009년 볼빅이 시장에 나오자마자 인수했다. ‘골프광’다운 결정이었다. 철강회사를 정리한 그는 “세계 스포츠 10대 강국인 한국에 변변한 스포츠 브랜드가 하나 없는 게 말이 되느냐. 볼빅을 세계 10대 스포츠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다짐했다.

'컬러 골프공 대명사' 볼빅은 왜 실패했나
‘품질과 애국심’을 모토로 내세운 볼빅은 승승장구했다. 컬러볼은 그가 내세운 ‘킬러 콘텐츠’였다. 당시만 해도 컬러볼은 아마추어나 쓰는 ‘싸구려 공’으로 통했다. 문 전 회장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오히려 연구개발에 돈을 쏟아부었다. “볼빅 공으로 치면 비거리가 더 난다”는 입소문이 돌면서 판매에 탄력이 붙었다.

품질이 잡히자 마케팅에 힘을 줬다. ‘경쟁사들은 마케팅비로 매출의 5~10%를 투자하지만, 볼빅은 20% 이상을 쓴다’는 얘기가 업계에서 돌 정도였다. 문 회장은 프로·아마추어 선수 약 200명이 볼빅 모자를 쓰고 필드를 누빌 때까지 돈을 퍼부었다. 결국 국내 소비자의 인식을 바꾸는 데 성공한 볼빅은 타이틀리스트에 이어 골프공 2위 기업으로 우뚝 섰다. 수출에도 물꼬를 튼 그는 2016년 처음 ‘300만불 수출의 탑’을 달성했고 2017년에는 처음으로 수출로만 1000만달러를 넘어섰다.

하지만 ‘글로벌 톱 브랜드’라는 꿈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토털 스포츠 브랜드를 목표로 했던 그는 배드민턴, 고반발 클럽 등 사업영역 다각화에 나서며 외형을 키웠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19 여파로 수출길이 막히고 현금 회수 능력마저 악화하면서 지난해에는 회계법인으로부터 ‘의견 거절’을 받았다. 주식 거래도 정지됐다. 지난해 473억3700만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매출을 회복했지만 3년 연속 적자를 내는 등 수익성은 내지 못했다. 그렇게 문경안의 볼빅 스토리는 끝났다.

배턴을 이어받은 홍 신임 대표는 “볼빅은 좋은 브랜드임에도 경영 상황이 여의치 않아 브랜드 가치를 마음껏 활용하지 못했다”며 “재무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볼빅을 글로벌 브랜드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희찬 기자 etwood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