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5% '비싸도 ESG기업 선택'
대한상공회의소는 3일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 출생한 MZ세대 소비자 38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MZ세대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구매 결정의 핵심 요소로 꼽았다. 응답자의 3분의 2에 육박하는 64.5%가 ‘ESG를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이 더 비싸더라도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ESG 우수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때 동일한 경쟁사 제품보다 얼마를 더 지급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엔 ‘2.5~5.0%’라는 응답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5.0~7.5%’가 21.6%로 뒤를 이었다. 대표적인 ESG 제품으로 무라벨 페트병(41.1%)을 꼽았다. 이어 전기·수소차(36.3%),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의류(13.7%), 친환경 세제(7.9%) 순으로 많은 응답이 나왔다.
가치소비를 반영하는 신조어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개념과 관련한 문항에선 ‘가심비’(46.6%)와 ‘미닝아웃’(28.7%), ‘돈쭐’(10.3%)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기업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선 ‘투명·윤리경영 실천’이 51.3%로 ‘일자리 창출’(28.9%)을 압도했다. ESG 경영에 가장 잘 대응하는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과 SK, LG, 오뚜기, 유한킴벌리, 풀무원, 현대자동차 등이 거론됐다.
이재혁 고려대 ESG연구센터장은 “비슷한 품질이라면 ESG 실천을 구매 기준으로 삼는 ‘신념 소비’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ESG 경영에 더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