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日 부동산 전문가의 도쿄 아파트 투자비법 (끝)
도쿄만 주변 타워맨션, 8년새 2배 올라
日 외면 속 韓·中투자가가 재미보던 시장 변화
30대 '파워커플' 가세로 'DTI 5배' 공식 무너져
美중앙은행 "韓 집값 2년새 20% 오를 때 日 2% 상승"
도쿄만 주변 타워맨션, 8년새 2배 올라
日 외면 속 韓·中투자가가 재미보던 시장 변화
30대 '파워커플' 가세로 'DTI 5배' 공식 무너져
美중앙은행 "韓 집값 2년새 20% 오를 때 日 2% 상승"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22.1.jpg)
지난해 도쿄 아파트의 평균 가격과 평당 가격은 모두 1990년 버블(거품)경제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부동산 시장분석 전문회사 도쿄간테이는 지난 20년간 도쿄 도심(도쿄 23구 지역) 역세권 맨션 가격(3LDK 신축 기준)의 추이를 분석했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23.1.jpg)
고급 주택가인 메구로도 2000년 5000만엔이었던 아파트값이 2020년 1억엔 이상으로 2배 이상 올랐다. 도심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외곽인 기타센주는 20년 동안 3000만엔에서 6000만엔 이상으로, 나카노도 5000만엔에서 8000만엔 이상으로 각각 3000만엔 이상씩 가격이 올랐다. 대체로 고급 주택가나 타워맨션이 몰려 있는 지역의 집값 상승률이 높았다.
2배 이상 오른 도쿄 아파트 가격의 향방을 가늠하려면 수요 분석이 필수다. 그러자면 최대 수요자인 일본인의 부동산에 대한 인식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24.1.jpg)
집은 월세를 내고 빌려살거나 아니면 직장까지 지하철로 1시간 거리인 교외에 단독주택을 지어 평생 끼고 산다는 마인드가 뿌리 깊다는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27.1.jpg)
일본인들의 주거 패턴이 월세 아니면 교외의 자가인 것은 총부채상환비율(DTI)을 5배 이내, 즉 주택담보대출을 연봉의 5배 이내로 받는다는 공식과 관계가 깊다.
도쿄 도민들의 평균 연간소득은 596만엔이니 5배인 3000만엔으로 살 수 있는 집을 고른다는 것이다. 그런데 도쿄 도심 아파트 값은 일본 직장인 연봉을 19년치 모아야 살 수 있을 만큼 올랐다. 1억엔이 넘는 도심 타워맨션은 다른 세상 얘기나 다름없다.
보통의 일본인들은 집값이 상대적으로 싼 교외나 수도권의 부동산을 구입할 수 밖에 없었던 사정이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28.1.jpg)
부동산 IT기업 하우스마트에 따르면 도요스, 하루미, 가치도키, 시나가와 등 도쿄만 주변 지역의 타워맨션 가격은 2019년 12월부터 2년새 평균 20% 올랐다. 이 지역 타워맨션 대부분은 중고가격이 신축 당시의 분양가를 웃돈다.
일본인들이 자기나라 부동산을 투자대상으로 여기지 않으니 한국과 중국, 동남아시아 등 해외투자가들이 재미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시진핑 정부가 부동산 투기를 강력하게 규제하면서 중국 투자가들의 매입이 크게 늘었다.
일본 정부의 입국 규제로 일본을 방문하는게 불가능하지만 중국 투자가들은 5000만엔대의 물건은 보지도 않고 매입한다는 전언이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29.1.jpg)
버블붕괴의 충격과 공포를 뼛속 깊이 간직한 부모 세대와 달리 이들은 부동산 폭락의 쓰린 추억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다. '매일 1시간 넘게 만원 지하철에서 시달리면서 출퇴근을 하느니 비싸도 도심에 사는게 낫다'라고 생각한다. 또 '매월 300만~400만원씩 월세를 내느니 집을 사는 편이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35.1.jpg)
10년째 이어지는 일본의 초저금리도 파워커플들이 타워맨션을 사들이는 이유다. 1990년 일본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평균 8%를 넘었지만 현재는 1%를 밑돈다. 주택담보대출로 같은 금액을 빌렸다면 현재의 월 변제금액은 1990년의 2분의 1~3분의 1 수준이다.
일본 최대 인재·부동산 정보 전문회사인 리크루트그룹에 따르면 2020년 수도권 맨션 구입자 가운데 맞벌이 세대의 비율은 59.9%였다. 2001년만 해도 맞벌이 세대의 비율은 35.4%였다.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은 원활하지가 않다. 지난해 수도권 신축 맨션 공급수는 3만2500세대로 공급이 가장 많았던 2000년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입지가 좋은 지역은 한정돼 있는데 최대한 공급을 늘리려다 보니 건설사들도 타워맨션을 주로 짓는다. 수도권 신축 아파트 4세대 가운데 1세대가 타워맨션이라는 통계도 있다.
!["한국 집값 20% 오를 때 日 2% 상승"…전문가 전망은?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01445.1.jpg)
한국의 주택가격은 150.95에서 180.96으로 20% 상승했다. 일본보다 10배가 더 올랐다. 캐나다가 38%, 미국이 21% 오르는 등 25개국의 평균 상승률이 17%에 달했다. 일본은 스페인(1%)과 함께 세계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오르지 않은 나라였다.
최근 골드만삭스, 블랙록,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글로벌 투자자금이 일본 부동산 시장에 몰려들고 있다. 글로벌 큰 손들은 한결같이 '선진국 가운데 가장 싼 가격'을 일본 부동산 시장에 진출하는 이유로 내세운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