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대못'…청구서가 날아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탄소중립법 시행…기업들 '비상'
탄소배출 무상 할당량 축소
수요 늘어 배출권값 상승세
50대 제조업 배출부채 2941억
기아 1191억·포스코 843억…
탄소배출 무상 할당량 축소
수요 늘어 배출권값 상승세
50대 제조업 배출부채 2941억
기아 1191억·포스코 843억…
철강 자동차 전자 등 국내 주력 제조업체들이 지난달부터 시행된 탄소중립기본법으로 비상이 걸렸다. 2030년 온실가스(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내용이 법제화되면서 각 기업에 배정된 탄소배출 무상 할당량 축소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당장 가격 급등이 예상되는 탄소배출권을 더 많이 구입해야 해 기업의 재무 부담이 불어날 전망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개 국내 제조업체는 지난해 2941억원의 탄소배출부채를 재무제표에 반영했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 무상 할당량을 지정했다. 이를 초과해 탄소를 배출한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매를 위해 충당금(배출부채)을 쌓아야 한다.
지난해 50개 제조업체의 탄소배출부채는 2941억원으로, 전년(4663억원) 대비 58.6% 줄었다. 하지만 이는 2020년에 현대제철이 자회사인 현대그린파워의 발전소 설비 임대에 따른 일시적인 탄소부채(1571억원)를 반영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제철을 제외한 배출부채는 2020년 3091억원에서 지난해 2806억원으로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2019년(1522억원)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었다.
기업 중에선 북미 환경규제 관련 기아의 배출부채가 119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포스코(843억원) 삼성전자(450억원) 현대제철(135억원) 등 순이었다. 기아 관계자는 “1191억원의 배출부채는 북미 지역에 판매되는 차량의 연비규제를 미리 대비한 충당금 개념”이라며 “국내 탄소배출권 관련 배출부채는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2030년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는 탄소중립기본법이 지난달 25일부터 시행됐다는 점이다. 각 기업에 배정된 탄소배출 할당량을 대폭 하향 조정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이런 마당에 탄소배출권 가격은 상승 추세다. 1년 전인 작년 4월 t당 1만8000원대이던 탄소배출권은 지난 1월 3만5000원대까지 치솟은 뒤 현재는 2만20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한 철강회사 임원은 “탄소중립기본법 시행과 함께 ‘탄소중립 청구서’가 본격적으로 날아오는 건 아닌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개 국내 제조업체는 지난해 2941억원의 탄소배출부채를 재무제표에 반영했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 무상 할당량을 지정했다. 이를 초과해 탄소를 배출한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매를 위해 충당금(배출부채)을 쌓아야 한다.
지난해 50개 제조업체의 탄소배출부채는 2941억원으로, 전년(4663억원) 대비 58.6% 줄었다. 하지만 이는 2020년에 현대제철이 자회사인 현대그린파워의 발전소 설비 임대에 따른 일시적인 탄소부채(1571억원)를 반영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제철을 제외한 배출부채는 2020년 3091억원에서 지난해 2806억원으로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2019년(1522억원)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었다.
기업 중에선 북미 환경규제 관련 기아의 배출부채가 119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포스코(843억원) 삼성전자(450억원) 현대제철(135억원) 등 순이었다. 기아 관계자는 “1191억원의 배출부채는 북미 지역에 판매되는 차량의 연비규제를 미리 대비한 충당금 개념”이라며 “국내 탄소배출권 관련 배출부채는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2030년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는 탄소중립기본법이 지난달 25일부터 시행됐다는 점이다. 각 기업에 배정된 탄소배출 할당량을 대폭 하향 조정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이런 마당에 탄소배출권 가격은 상승 추세다. 1년 전인 작년 4월 t당 1만8000원대이던 탄소배출권은 지난 1월 3만5000원대까지 치솟은 뒤 현재는 2만20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한 철강회사 임원은 “탄소중립기본법 시행과 함께 ‘탄소중립 청구서’가 본격적으로 날아오는 건 아닌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