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낀 세대' 60년생,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함께 '부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총리 후보 유력한 추경호
외교·안보라인 김성한·이종섭
권성동은 원내대표 급부상
외교·안보라인 김성한·이종섭
권성동은 원내대표 급부상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동갑내기인 1960년생들이 다음달 출범할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요직에 오를 유력 후보로 잇달아 떠오르고 있다.
5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국민의힘에 따르면 1960년생의 대표 주자로는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간사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꼽힌다. 추 의원은 현재 새 정부의 첫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기재부 1차관 출신인 추 의원은 당내 대표적인 ‘경제 정책통’으로 거야(巨野) 협상을 잘 이끌 수 있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신구(新舊) 권력 간 인사권 갈등의 대상이 됐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도 1960년생이다.
외교·안보 분야에선 윤 당선인과 초등학교 동창으로 오랜 기간 인연을 쌓아온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이 눈에 띈다. 현재 인수위 외교안보분과 간사로 차기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인수위 외교안보분과 위원인 이종섭 전 합동참모본부 차장도 1960년생으로 국방부 장관 물망에 올라 있다.
국민의힘 당내에서도 1960년생들이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윤 당선인의 국민의힘 입당부터 힘을 보탠 권성동 의원은 강력한 원내대표 후보다. 윤 당선인을 향해 “고향 친구”라며 지지를 보내온 정진석 의원은 국회 부의장을 맡고 있다.
1960년생은 소위 ‘끼인 세대’로 대한민국 역사의 전면에 나선 경우가 드물었다. 베이비붐 세대(1954~1963년 출생)와 86세대(1960년대 출생·1980년대 학번) 모두에 발을 걸쳤지만 주류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베이비붐 초기 세대인 1950년대생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보니 사회적으로 성장할 기회가 적었다. 또 당시 주류세력에 대항하던 86세대의 맏이 격이지만 앞선 세대와 함께 기득권으로 묶였다. 정치권에서 86세력을 주목할 때도 82학번 이후 주류 운동권 세력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 윤 당선인의 대선 승리로 사회적으로 정년을 앞둔 나이에 정부와 당 요직에 이름을 올리는 등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정치권에서는 1960년생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제기된다. 비정치인 출신인 윤 당선인이 대선에 출마하다보니 동년배들에게 도움을 받았고, 이들이 대선 승리 후 세력화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5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국민의힘에 따르면 1960년생의 대표 주자로는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간사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꼽힌다. 추 의원은 현재 새 정부의 첫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기재부 1차관 출신인 추 의원은 당내 대표적인 ‘경제 정책통’으로 거야(巨野) 협상을 잘 이끌 수 있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신구(新舊) 권력 간 인사권 갈등의 대상이 됐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도 1960년생이다.
외교·안보 분야에선 윤 당선인과 초등학교 동창으로 오랜 기간 인연을 쌓아온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이 눈에 띈다. 현재 인수위 외교안보분과 간사로 차기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인수위 외교안보분과 위원인 이종섭 전 합동참모본부 차장도 1960년생으로 국방부 장관 물망에 올라 있다.
국민의힘 당내에서도 1960년생들이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윤 당선인의 국민의힘 입당부터 힘을 보탠 권성동 의원은 강력한 원내대표 후보다. 윤 당선인을 향해 “고향 친구”라며 지지를 보내온 정진석 의원은 국회 부의장을 맡고 있다.
1960년생은 소위 ‘끼인 세대’로 대한민국 역사의 전면에 나선 경우가 드물었다. 베이비붐 세대(1954~1963년 출생)와 86세대(1960년대 출생·1980년대 학번) 모두에 발을 걸쳤지만 주류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베이비붐 초기 세대인 1950년대생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보니 사회적으로 성장할 기회가 적었다. 또 당시 주류세력에 대항하던 86세대의 맏이 격이지만 앞선 세대와 함께 기득권으로 묶였다. 정치권에서 86세력을 주목할 때도 82학번 이후 주류 운동권 세력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 윤 당선인의 대선 승리로 사회적으로 정년을 앞둔 나이에 정부와 당 요직에 이름을 올리는 등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정치권에서는 1960년생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제기된다. 비정치인 출신인 윤 당선인이 대선에 출마하다보니 동년배들에게 도움을 받았고, 이들이 대선 승리 후 세력화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