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中企업계 "3개 부처 쪼개진 뿌리산업 정책 일원화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뿌리산업 거버넌스 일원화'요구한 김기문 중기중앙회장
"정책 산업부, 대상 중기부, R&D 과기부로 분산 안돼"
생기원 이관도 촉구…업계 "어느 부처든 하나로 몰아달라"
중기부 해체설에 박영선 전 장관 "디지털 시대 역행"
"정책 산업부, 대상 중기부, R&D 과기부로 분산 안돼"
생기원 이관도 촉구…업계 "어느 부처든 하나로 몰아달라"
중기부 해체설에 박영선 전 장관 "디지털 시대 역행"

6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선 문승욱 산업부 장관 주관으로 14개 뿌리업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뿌리업계 간담회가 열렸다. 뿌리산업이란 금형, 주조, 단조, 도금, 용접, 열처리 등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6대 업종을 말한다. 자동차, 조선, 스마트폰, 반도체, 가전 등 한국의 대표 수출 제품을 만들때 들어가는 필수 기술들이다.
그러면서 “최근 중기중앙회에서도 인수위를 찾아 뿌리 중소기업의 불편과 어려움을 호소한 바 있다”며 “뿌리산업의 도약을 위해 거버넌스 일원화 등으로 조속히 지원체계가 정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지난달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가진 경제단체장 오찬 회동에서도 과기부 산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이관을 촉구한 바 있다.
국내 뿌리업체는 3만개, 종사자는 51만명이다. 이들의 연간 매출은 162조원, 수출은 24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12월 사출·프레스, 정밀가공, 로봇, 센서 등도 뿌리업종으로 추가돼 현재 총 14개 업종이다.
뿌리기업의 R&D을 지원하는 정부 대표 조직은 생기원과 그 산하의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다. 과기부 산하인 생기원은 1989년 중소·중견기업의 생산기술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인력과 예산은 과기부 통제를 받지만 지원 대상이 대부분 주요 사업은 산업부가 관리하고 있다.

한 부처가 총괄하지 않고 여러 부처에 분산되다보니 정부내에서 뿌리산업 정책이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뿌리산업은 산업부 소재부품장비총괄과내 뿌리산업팀에서 관리하고 있다. 팀장 1명과 사무관 2명, 주무관 1명이 맡고 있고 뿌리센터 직원도 23명(정규직)이 전부다.
이날 모인 뿌리기업 단체장들은 "중기부로 통합하든, 산업부로 통합하든 한 군데서 뿌리기업을 통합 지원해줬으면 좋겠다"며 "힘있는 조직에서 뿌리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뿌리업계는 산업부에 △섬유산업 뿌리산업 지정 추가 △중소기업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뿌리산업 전용 정책자금 신설 △자동화 설비 구축 지원 등을 요구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한 언론의 ‘중기부 해체설’보도에 대해 “조직개편은 확정된 부분이 없다”며 부인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영선 전 중기부 장관은 “중기부는 대한민국 기업의 99%, 일자리의 88%를 차지한다는 의미에서 ’9988‘부처라고 한다”며 “중기부 헤체는 디지털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