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입주민이 붙인 것으로 보이는 안내문.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아파트의 입주민이 붙인 것으로 보이는 안내문.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한 아파트 주민이 각 세대 소화전에 해당 세대원 이름과 입주민을 특정하는 표식이 적혀있는 것을 발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5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아파트의 입주민이 붙인 것으로 보이는 안내문 사진이 올라왔다.

안내문을 작성한 A 씨는 "지난 2일 소화전 윗부분에 생후 7개월 된 저희 아기 이름이 적혀있는 걸 확인했다"며 "택배 기사나 다른 배달원이 적어놨다고 하기엔 아직 7개월밖에 안 된 아기라서 심각한 문제로 인지해 다른 호수도 확인해 보게 되었다"고 운을 뗐다.

A 씨는 "우선 1층을 제외한 2층부터 각 세대 앞 소화전에 입주민 성함이 적혀있었다"며 "확인할 수 있는 각 세대에 요청을 구해 이름을 대조한 결과 현재 거주하고 있는 입주민의 이름과 동일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이점은 남성의 이름은 매우 적었으며 주로 여성 및 자녀, 노약자 이름이 적혀있었다"고 말했다.

또 "가장 무서운 점은 우리 집 현관문 바로 옆에 '5759', 맞은편 벽에는 이를 거꾸로 한 '9575'라는 숫자가 적혀있었다"며 "5759를 검색해보니 고대 히브리어로 '어린아이, 유아, 젖먹이' 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해당 동 외 다른 곳 세 동을 확인했으며 모두 다 소화전 윗부분에 이름이 적혀져 있는 걸 확인했다"며 "모든 동을 다 돌아본 것은 아니지만 위 조사한 사항만으로도 충분히 전 세대에 이름이 적혀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다음날 A 씨는 이 사실을 경비실에 알리며 "증거가 될 수 있으니 낙서는 지우지 말고 경찰에 신고할 수 있도록 조치해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경비실은 이를 관리사무소에 전달했는데, 관리사무소는 특별한 조처 없이 A 씨가 거주하는 동에 적힌 이름만을 지웠다고 한다.

A 씨는 "관리사무소에 따져 물으니 사모님이 걱정해서 우리 집만 지웠다고 했다"며 "확인 결과 총 4개 층에 적힌 이름을 지운 것을 발견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관리사무소는 이 사항에 대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찰에 신고하고 범인을 잡기보단 이 상황을 쉬쉬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서 내가 직접 주민에게 심각함을 알리고자 이 안내문을 작성하게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입주민의 이름이 유출되어 남이 인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입주민들을 향해 "아파트 전체에 입주민 이름이 적혀있는 부분을 경찰에 신고하고자 하니 각 세대 소화전 윗부분 확인 부탁드리며 증거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니 당분간 지우지 말고 증거 사진 남겨놔 주시길 부탁한다"고 요청했다.

한편 지난 2008년 서울과 인천 등에서도 혼자 사는 여성이 많은 오피스텔과 원룸을 중심으로 초인종 옆에 낙서가 잇따라 발견되기도 했다. 또 지난 2014년 3월에도 광주의 일부 아파트 현관문에서 의문의 표시가 발견돼 논란이 된 바 있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