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증상 사라지면 완치?…"6개월 뒤 폐 망가질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감소세에 접어들며 거리두기와 실외 마스크 해제 등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에 확진된 뒤 증상이 사라졌다고 하더라도 최대 6개월까지는 몸 상태를 살펴봐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연구진은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BMJ’에 이같은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후 심부정맥 혈전증은 최대 3개월까지, 폐색전증은 최대 6개월까지, 부정 출혈 등은 2개월까지 나타날 수 있다.
정맥혈전색전증은 다리의 심부정맥에 생긴 혈전이 폐의 동맥까지 흘러들어가 폐를 망가뜨리는 질환이다. 혈전이 다리에 머물러 있으면 심부정맥 혈전증, 폐까지 올라가게 되면 폐색전증으로 분류한다.
그간 정맥혈전색전증(VTE)은 코로나19 감염 후유증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혈전 발생 위험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켜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스웨덴의 우메오대 연구진은 이런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코로나19 이후 심부정맥 혈전증과 폐색전증, 부정 출혈의 위험을 수치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코로나가 성행하기 시작했던 2020년 2월부터 2021년 5월 사이에 코로나19에 감염된 100만 명의 사람을 선별했다. 이후 감염되지 않은 400만 명 중 나이, 성별, 거주지 등이 유사한 이들과 비교 분석을 했다.
연구진은 이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를 분석했다. 우선 코로나19 감염되기 전과 후의 혈전 및 부정 출혈 발생 비율을 비교하고, 코로나19 진단 이후 기간별(1~7일, 8~14일, 31~60일, 61~90일, 91~180일)로 발생 비율을 조사했다.
두 번째는 코로나19 진단 이후 30일 동안 발생한 혈전, 부정 출혈 발생률과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은 집단의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심부정맥 혈전증은 90일, 폐색전증은 180일, 부정 출혈은 60일간 대조군에 비해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진단 후 30일 동안 비감염군에 비해 심부정맥 혈전증이 발생할 위험은 5배, 폐색전증 발생 위험은 33배, 부정 출혈은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유행했던 기간에 따라 분석하면, 백신이 보급되던 2021년 상반기보다 유행 초기에 혈전 등의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연구진은 백신, 고령 환자의 치료 개선 등의 보건학적 요소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데이터를 활용한 관찰 연구로, 확진자 후유증이 왜 나타나고, 왜 오래 지속되는지에 대한 원인은 분석하지 못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요안니스 카트소울라리스 우메오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코로나19에 감염이 됐다면 최소한 6개월간은 신체 변화를 잘 살펴봐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백신 접종을 통해 혈전 등의 발생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지원 기자 jwchoi@hankyung.com
스웨덴 연구진은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BMJ’에 이같은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후 심부정맥 혈전증은 최대 3개월까지, 폐색전증은 최대 6개월까지, 부정 출혈 등은 2개월까지 나타날 수 있다.
정맥혈전색전증은 다리의 심부정맥에 생긴 혈전이 폐의 동맥까지 흘러들어가 폐를 망가뜨리는 질환이다. 혈전이 다리에 머물러 있으면 심부정맥 혈전증, 폐까지 올라가게 되면 폐색전증으로 분류한다.
그간 정맥혈전색전증(VTE)은 코로나19 감염 후유증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혈전 발생 위험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켜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스웨덴의 우메오대 연구진은 이런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코로나19 이후 심부정맥 혈전증과 폐색전증, 부정 출혈의 위험을 수치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코로나가 성행하기 시작했던 2020년 2월부터 2021년 5월 사이에 코로나19에 감염된 100만 명의 사람을 선별했다. 이후 감염되지 않은 400만 명 중 나이, 성별, 거주지 등이 유사한 이들과 비교 분석을 했다.
연구진은 이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를 분석했다. 우선 코로나19 감염되기 전과 후의 혈전 및 부정 출혈 발생 비율을 비교하고, 코로나19 진단 이후 기간별(1~7일, 8~14일, 31~60일, 61~90일, 91~180일)로 발생 비율을 조사했다.
두 번째는 코로나19 진단 이후 30일 동안 발생한 혈전, 부정 출혈 발생률과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은 집단의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심부정맥 혈전증은 90일, 폐색전증은 180일, 부정 출혈은 60일간 대조군에 비해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진단 후 30일 동안 비감염군에 비해 심부정맥 혈전증이 발생할 위험은 5배, 폐색전증 발생 위험은 33배, 부정 출혈은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유행했던 기간에 따라 분석하면, 백신이 보급되던 2021년 상반기보다 유행 초기에 혈전 등의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연구진은 백신, 고령 환자의 치료 개선 등의 보건학적 요소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데이터를 활용한 관찰 연구로, 확진자 후유증이 왜 나타나고, 왜 오래 지속되는지에 대한 원인은 분석하지 못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요안니스 카트소울라리스 우메오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코로나19에 감염이 됐다면 최소한 6개월간은 신체 변화를 잘 살펴봐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백신 접종을 통해 혈전 등의 발생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지원 기자 j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