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대 학생들이 단백질 분리정제 완충용 제조 실습 수업을 하고 있다. 유일한 유한양행 설립자가 세운 이 학교는 바이오헬스 부문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유한대 제공
유한대 학생들이 단백질 분리정제 완충용 제조 실습 수업을 하고 있다. 유일한 유한양행 설립자가 세운 이 학교는 바이오헬스 부문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유한대 제공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세가 뚜렷해지면서 관련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2020년 바이오산업 수출액은 사상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고 생산 규모도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하지만 인력 공급이 관련 산업 성장세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많은 업체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21년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부문 인력 부족률은 3.2%로 12대 주력 산업 평균인 2.2%를 웃돌았다.

이 같은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육부의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면서 바이오·헬스 전문 기술 인력을 보급하는 핵심 통로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마크로젠 등과 맞춤형 인재 양성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바이오헬스, 차세대 반도체, 인공지능(AI), 미래자동차 등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이끌어갈 전문 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사업은 내년까지 계속된다.

12개 대학을 선정해 학교별로 3년간 3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선정된 대학들은 학과를 개편하거나 신설하고, 교육 환경을 혁신하는 등 사업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바이오산업 분야에서는 대구보건대 안동과학대 유한대 등 3개 대학이 선정됐다.

맞춤형 헬스케어 부문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구보건대는 기존 임상병리과에 바이오진단검사 전문가과정과 스마트 의료기기 전문가과정을 신설했다. 일선 임상 현장과 같은 환경에서 학생들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바이오진단검사 실습실, 바이오빅데이터 분석실, 스마트 의료기기 실습실 등 세 곳의 현장 미러형 실습실과 스마트 강의실도 새롭게 구축했다. 지난해 7월에는 의료기기규제과학(RA) 전문가 교육기관으로 지정돼 다른 학과 학생들도 바이오 부문 단기 직무교육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첨단 분자진단 기술과 맞춤형 의료기기 제조 기술을 보유한 마크로젠, 씨젠의료재단, 로킷헬스케어, 엘엔케이바이오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맞춤형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지역 바이오기업과 산학 협력 강화

경북 안동에는 SK바이오사이언스, SK플라즈마,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등 백신산업 클러스터가 들어서 있다.

이 지역에 있는 안동과학대는 지난해 혁신신약 부문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된 뒤 사업 주관 학과인 의약품질분석과를 올해 바이오백신제약과로 변경했다. 이어 실습실과 장비를 강화해 현장 중심 교육과정을 마련했다.

안동과학대는 SK바이오사이언스와 협약을 체결하고 산학 공동 교육체계 구축 및 취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권상용 안동과학대 총장은 “이 같은 노력을 인정받아 작년 산학협력 우수 사례 경진대회 인력 양성 부문에서 교육부 장관상인 최우수상을 받았다”며 “지역 기업들이 원하는 현장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부천의 유한대는 바이오헬스 부문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 사업에 선정된 뒤 유한생명바이오과를 신설했다. 이 대학은 유한양행 창업자인 고(故) 유일한 박사가 설립했다. 지난해에는 유한양행 유한화학 등과 협력해 공동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단백질의약품 생산 관련 실습 기자재를 기증받았다. 이를 통해 미러형 실습실을 열고 바이오리액터 등의 기자재를 도입하는 등 혁신 교육 기반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들 3개 대학은 올해 바이오 분야 교육 및 산학협력 성과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교육 콘텐츠와 비교과 프로그램 등을 공동 개발 및 운영하고, 현장실습 플랫폼을 공유하기로 했다. 산학 공동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추진 등을 함께 진행해 산학협력 교육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도 높이기로 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