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약으로 돈 번 제약사들…한미는 자체개발로 1조 매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약업계 작년 실적 뜯어보니
한미, 90%이상 자체개발 제품
업계, 독자 의약품 R&D 안간힘
한미, 90%이상 자체개발 제품
업계, 독자 의약품 R&D 안간힘
한미약품이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의약품 매출이 지난해 1조원을 넘었다. 개량신약인 고혈압약 아모잘탄, 고지혈증약 로수젯 등의 매출이 급증하면서다. 글로벌 제약사의 신약을 국내에 들여와 위탁판매하는 방식으로 성장해온 국내 제약업계에서 이례적인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미약품의 매출 구성은 다른 제약사와는 확연히 달랐다. 국내 매출 5위권 제약사 중 외국산 의약품 위탁판매 등을 통해 올린 매출 비중이 10%를 밑돈 것은 한미약품뿐이다.
제약업계 매출 1위인 유한양행은 지난해 매출 1조6878억원의 58.4%를 외국산 의약품 위탁판매로 올렸다. 유한양행의 효자 품목은 당뇨병약 트라젠타다. 독일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 제품이다. 지난해 국내에서 1220억원어치를 팔았다. 매출 2위인 GC녹십자의 수입 약 매출 비중은 34.5%였다. 종근당도 매출의 절반에 육박하는 46%를 수입 약 판매를 통해 올렸다. 지난해 매출이 1조원을 넘어선 대웅제약도 외국산 의약품 비중이 44%였다.
업계 관계자는 “10년 전엔 전문의약품(의사가 처방해주는 약) 중 수입과 국산 약 비중이 6 대 4 정도였다”며 “지금은 8 대 2까지 올라갔다”고 했다.
제약사들의 수입 약 판매를 바라보는 시선이 차츰 바뀌고 있다. 수입 약을 팔면서 글로벌 제약사와 돈독한 관계를 맺은 유한양행이 잇단 기술수출에 성공하면서다.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을 해외 제약사 등에 기술이전해 이익을 내는 라이선스 수익은 국내 제약사의 새로운 매출 창구가 됐다. 2020년과 지난해 유한양행이 라이선스를 판매해 벌어들인 수익은 각각 1556억원, 519억원이었다.
수입 약 판매는 국내 제약사에 갈수록 계륵 신세가 되고 있다. 국내 제약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마진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수입 약 매출 비중이 79.9%로 가장 높았던 제일약품은 1988년 상장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매출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뒤늦게 연구개발(R&D)에 뛰어든 것도 원인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자체 개발 약을 확보하기 위해 R&D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제약사의 수입 약 의존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자체 약 팔아 1조원 매출 올린 한미약품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미약품의 지난해 매출 1조2032억원 중 자체 개발 제품 매출은 1조745억원이다. 외국산 의약품 등을 수입 판매해 올린 ‘상품 매출’은 전체의 8%로 5년 전 13.9%에 비해 크게 줄었다.한미약품의 매출 구성은 다른 제약사와는 확연히 달랐다. 국내 매출 5위권 제약사 중 외국산 의약품 위탁판매 등을 통해 올린 매출 비중이 10%를 밑돈 것은 한미약품뿐이다.
제약업계 매출 1위인 유한양행은 지난해 매출 1조6878억원의 58.4%를 외국산 의약품 위탁판매로 올렸다. 유한양행의 효자 품목은 당뇨병약 트라젠타다. 독일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 제품이다. 지난해 국내에서 1220억원어치를 팔았다. 매출 2위인 GC녹십자의 수입 약 매출 비중은 34.5%였다. 종근당도 매출의 절반에 육박하는 46%를 수입 약 판매를 통해 올렸다. 지난해 매출이 1조원을 넘어선 대웅제약도 외국산 의약품 비중이 44%였다.
외국 약 유통 확대 경쟁
국내 제약사의 매출 구조는 크게 두 가지다. 자체 개발한 신약과 복제약을 판매하거나 외산 의약품의 판권을 따내 국내에 유통한다. 변변한 신약이 거의 없다 보니 빚어진 현상이다. 이 때문에 국내 제약사들은 ‘외산 약 도매상’으로 불리기도 했다.업계 관계자는 “10년 전엔 전문의약품(의사가 처방해주는 약) 중 수입과 국산 약 비중이 6 대 4 정도였다”며 “지금은 8 대 2까지 올라갔다”고 했다.
제약사들의 수입 약 판매를 바라보는 시선이 차츰 바뀌고 있다. 수입 약을 팔면서 글로벌 제약사와 돈독한 관계를 맺은 유한양행이 잇단 기술수출에 성공하면서다.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을 해외 제약사 등에 기술이전해 이익을 내는 라이선스 수익은 국내 제약사의 새로운 매출 창구가 됐다. 2020년과 지난해 유한양행이 라이선스를 판매해 벌어들인 수익은 각각 1556억원, 519억원이었다.
계륵이 된 수입 약 유통
일각에선 국내 제약사의 수입 약 판매 출혈 경쟁 탓에 다국적 제약사만 반사이익을 얻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에서 직원을 고용해 직접 영업망을 구축하는 대신 국내 제약사에 유통을 맡겨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어서다.수입 약 판매는 국내 제약사에 갈수록 계륵 신세가 되고 있다. 국내 제약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마진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수입 약 매출 비중이 79.9%로 가장 높았던 제일약품은 1988년 상장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매출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뒤늦게 연구개발(R&D)에 뛰어든 것도 원인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자체 개발 약을 확보하기 위해 R&D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제약사의 수입 약 의존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