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中 '방역·경제'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을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선전·상하이 봉쇄…생산·소비 피해 확산
신인프라 투자·감면책 등 경기부양 고심
홍창표 KOTRA 중국지역본부장
신인프라 투자·감면책 등 경기부양 고심
홍창표 KOTRA 중국지역본부장
중국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중심지는 남부 광둥성 선전이다. 텐센트, 화웨이, ZTE를 비롯해 오포, 비보 등 휴대폰 기업과 전기차 기업 BYD 등이 몰려 있어 ‘중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린다. 선전시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지난달 중순 7일간의 봉쇄로 멈췄다. 뒤이어 지난 3월 28일부터는 인구 2500만 명의 경제수도 상하이가 단계적 순환 봉쇄에 들어갔다.
이번 중국의 코로나 재확산은 파급 범위가 2020년 초 첫 코로나 발생 이후 가장 광범위하다. 3월 중순 이후 중국 31개 성급 행정구역 가운데 티베트와 닝샤 자치구를 제외한 29개 성, 그리고 총 337개 시 중 245개 시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들 29개 성이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9.4%에 달한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특히 심한 지역은 지린성과 상하이다.
동시다발적인 코로나 확산으로 산업 생산과 소비 등 경제영역 전반에 걸쳐 피해가 가시화하고 있다. 중국의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달의 50.2보다 낮은 49.5로 집계돼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경기 위축 국면에 진입했다. 민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차이신 제조업 PMI는 3월 48.1로 2020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잇따른 도시 봉쇄 조치로 생산과 물류, 소비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물류 차질로 인한 비용 부담 애로를 호소하는 기업 역시 10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경기도 어렵지만, 더욱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서비스업 또한 문제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지난 3월 양회 때 제시한 금년도 경제성장률 목표치 5.5%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연초 시장의 전망은 5% 내외였다. 세계은행 역시 5.1%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중국 경제는 현재 부동산경기 침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불안과 인플레이션 등 크고 작은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장률 목표를 제시했지만, 0.5%포인트의 괴리를 어떻게 메울 수 있을 것인지가 과제다.
안팎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 ‘제로 코로나’ 방역정책이 초래하는 경제적 영향도 최소화해야 한다. 중국 정부는 경제책사 류허 부총리를 필두로 경기 급랭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 처방전을 내놓고 있다. 먼저 은행 지급준비율과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를 인하하며 적극적 통화정책 운용의 시동을 걸었다. 전통 인프라는 물론, 디지털 경제 관련 신인프라 분야 조기 투자도 단행할 방침이다. 과거에도 정부 부문의 투자는 중국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구원투수 역할을 해 왔다. 올해는 첨단기술 및 친환경 분야, 디지털 경제에 대한 투자가 경제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코로나 봉쇄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 기업 지원정책 및 소비 진작책도 속속 내놓고 있다. 고용안정 보조금, 사회보험료와 공과금 유예 및 감면, 개인소득세 및 부가세 경감, 국유부동산 임대료 감면 등의 조치가 그것이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대관식’이 될 가을 20차 당 대회에 큰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사회·경제 안전망 강화를 추진 중이다. 지난달 류허 부총리는 코로나19 방역과 경제사회 발전의 조화로운 추진을 통해 1분기 경기 부양을 확실히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국인민은행 역시 온건한 통화정책 강도를 높여 거시경제 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만간 발표할 1분기 성장률이 4.3~4.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과연 중국이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잡을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이번 중국의 코로나 재확산은 파급 범위가 2020년 초 첫 코로나 발생 이후 가장 광범위하다. 3월 중순 이후 중국 31개 성급 행정구역 가운데 티베트와 닝샤 자치구를 제외한 29개 성, 그리고 총 337개 시 중 245개 시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들 29개 성이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9.4%에 달한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특히 심한 지역은 지린성과 상하이다.
동시다발적인 코로나 확산으로 산업 생산과 소비 등 경제영역 전반에 걸쳐 피해가 가시화하고 있다. 중국의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달의 50.2보다 낮은 49.5로 집계돼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경기 위축 국면에 진입했다. 민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차이신 제조업 PMI는 3월 48.1로 2020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잇따른 도시 봉쇄 조치로 생산과 물류, 소비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물류 차질로 인한 비용 부담 애로를 호소하는 기업 역시 10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경기도 어렵지만, 더욱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서비스업 또한 문제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지난 3월 양회 때 제시한 금년도 경제성장률 목표치 5.5%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연초 시장의 전망은 5% 내외였다. 세계은행 역시 5.1%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중국 경제는 현재 부동산경기 침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불안과 인플레이션 등 크고 작은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장률 목표를 제시했지만, 0.5%포인트의 괴리를 어떻게 메울 수 있을 것인지가 과제다.
안팎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 ‘제로 코로나’ 방역정책이 초래하는 경제적 영향도 최소화해야 한다. 중국 정부는 경제책사 류허 부총리를 필두로 경기 급랭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 처방전을 내놓고 있다. 먼저 은행 지급준비율과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를 인하하며 적극적 통화정책 운용의 시동을 걸었다. 전통 인프라는 물론, 디지털 경제 관련 신인프라 분야 조기 투자도 단행할 방침이다. 과거에도 정부 부문의 투자는 중국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구원투수 역할을 해 왔다. 올해는 첨단기술 및 친환경 분야, 디지털 경제에 대한 투자가 경제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코로나 봉쇄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 기업 지원정책 및 소비 진작책도 속속 내놓고 있다. 고용안정 보조금, 사회보험료와 공과금 유예 및 감면, 개인소득세 및 부가세 경감, 국유부동산 임대료 감면 등의 조치가 그것이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대관식’이 될 가을 20차 당 대회에 큰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사회·경제 안전망 강화를 추진 중이다. 지난달 류허 부총리는 코로나19 방역과 경제사회 발전의 조화로운 추진을 통해 1분기 경기 부양을 확실히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국인민은행 역시 온건한 통화정책 강도를 높여 거시경제 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만간 발표할 1분기 성장률이 4.3~4.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과연 중국이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잡을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