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올 들어 석 달여 만에 네이버카카오의 시가총액이 20조원 넘게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긴축 및 금리 인상 기조가 뚜렷해지면서 성장주의 미래 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탓이다. 온라인 커머스 시장의 성장세 둔화, 임직원 연봉 인상 등도 플랫폼주를 짓누르는 원인으로 꼽힌다. 1분기 실적도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당분간 플랫폼주의 기대치를 낮춰야 한다는 조언마저 잇따르고 있다. 반면 네이버와 카카오의 신성장동력인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올 하반기부터 주가가 다시 고개를 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시총 20조 증발 네·카…들어갈까, 기다릴까
12일 네이버는 1.44% 하락한 30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는 1.05% 내린 9만41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네이버 시총은 올초 61조6820억원에서 이날 50조6091억원으로, 같은 기간 카카오 시총은 51조420억원에서 41조9940억원으로 각각 17.95%, 17.73% 쪼그라들었다. 3개월여 만에 시총이 10조원씩 사라진 것이다.

시총 20조 증발 네·카…들어갈까, 기다릴까
플랫폼주가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는 건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 긴축 기조가 강해지고 있는 데다 플랫폼 기업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구간으로 진입하면서 온라인 시장 성장세는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다. 네이버의 1분기 커머스 매출 증가율은 25.9%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월(81%)에 비해 3분의 1 토막 났다. 카카오의 카카오톡 비즈보드(채팅창 광고)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36.1%에서 올 1분기 28.1%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불어나는 인건비도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올해 전 직원 임금을 15%, 10%씩 인상하기로 했다.

이 같은 대내외 악재로 네이버는 올 1분기 매출 1조8842억원, 영업이익 3506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전 분기 대비 각각 2.26%, 0.17% 줄어든 수치다. 카카오는 1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밑돌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1분기 광고, 커머스, 페이 매출 성장이 둔화되고 인건비 상승이 지속되면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대비 11.5% 밑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카카오 목표주가는 15만원에서 14만원으로 내렸다.

하반기부터 플랫폼 주가가 다시 반등할 수 있다는 엇갈린 예상도 나온다. 네이버의 향후 주가 상승 동력이 콘텐츠와 블록체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자회사 라인디지털프론티어가 이북재팬 지분을 100% 인수하면서 네이버는 일본 디지털출판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올 2분기 라인 자회사 라인넥스트의 NFT(대체불가능토큰)거래소 플랫폼 ‘도시’도 주목받고 있다.

카카오의 새 성장동력으로도 블록체인이 주목받고 있다. 클레이튼은 NFT 거래와 메타버스를 위한 블록체인으로, 보라는 P2E(돈 버는 게임) 게임 등 콘텐츠 분야에 활용될 것이란 예상이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