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탄소중립 계획' 전면 수정…원전 비중 확대안 연내 내놓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수위, 脫원전 폐기 공식화
지난해 온실가스 되레 4% 늘어
원전 줄이고 신재생 계속 늘리면
GDP 연평균 0.7%P 감소 불가피
인수위, 5가지 정책방향 제시
원전 건설 재개·계속운전 허용
8월까지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
배출권거래 제3자 참여 확대도
지난해 온실가스 되레 4% 늘어
원전 줄이고 신재생 계속 늘리면
GDP 연평균 0.7%P 감소 불가피
인수위, 5가지 정책방향 제시
원전 건설 재개·계속운전 허용
8월까지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
배출권거래 제3자 참여 확대도
![원희룡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위원장(왼쪽)과 김상협 상임기획위원이 12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AA.29608842.1.jpg)
“LNG 급증이 배출량 증가 원인”
인수위는 12일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방향’ 브리핑에서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4.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고, 올해도 더 늘어날 전망”이라며 문재인 정부 탄소배출 감축 계획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말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에서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와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원전을 줄이면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이 16%나 급증한 게 주된 영향을 미쳤다.인수위는 탄소중립 시나리오 추진에 따른 부담이 국가 경제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21년 비공개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205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유지할 경우 국내총생산(GDP)이 2030년까지 연평균 0.7%포인트, 2050년까지 연평균 0.5%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했다.
원전 기반 새 탄소중립 계획 낸다
인수위는 문재인 정부 ‘탄소중립 계획’을 사실상 폐기하고, 원전을 기초로 한 새로운 탄소중립 이행계획을 내겠다고 밝혔다. 우선 ‘재생에너지와 원전의 조화·수요 관리 강화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탄소중립 에너지믹스와 전력시스템 혁신’ 등 다섯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원전 계속운전 허용 등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을 이행해 에너지 수급 계획을 다시 짜겠다는 것이다. 새 정책 방향은 오는 12월 10차 전력수급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정동욱 한국원자력학회장은 “한국에서 원전을 제외한 탄소중립 계획은 성립할 수 없다”며 “에너지 정책이 이제야 제자리를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인수위는 늦어도 올해 8월까지 ‘그린 택소노미(녹색금융 분류체계)’에 원전을 포함하는 등 관련 제도도 정비하기로 했다. 그린 택소노미는 정부가 친환경 산업을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잇달아 원전을 친환경 산업으로 분류한 것과 달리 한국은 원전을 제외해 논란이 됐다.
이 밖에 에너지 혁신 벤처와 인재 육성 등을 위한 ‘녹색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R&D) 체계 고도화 및 탄소중립형 신성장동력 창출’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탄소배출권 제3자 시장 참여 확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연계, 세제 보완 등을 통한 녹색금융 본격화’, ‘미국 등 주요국과의 기후 에너지 동맹 글로벌 협력체제 강화’ 방침도 밝혔다. 제한적인 시장참여자와 거래 물량 제한 등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해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게 인수위의 구상이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 기후변화 관련 새로운 통상 협약에도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인수위는 또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 구성의 편향성과 효율성 결여 문제가 모든 관련 부처에서 제기됐다”며 ‘탄소중립·녹색성장 거버넌스 전략적 재구성’을 정책 방향에 포함했다. 미국 백악관이 존 케리 기후특사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후팀’을 두고 차세대 청정에너지와 과학기술, 국가 경제와 안보의 관점에서 기후에너지 정책을 이끌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지훈/김소현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