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화장률 전국 기준 71.4%로 상승…서울은 33.0%
화장시설 집중운영기간 2주 연장…개장유골 화장은 제한적 허용
정부가 코로나19 사망자 증가에 따른 화장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장시설 집중운영기간'을 이달 30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달 15일 종료 예정이던 '화장시설 집중운영기간'을 보름 연장한다고 13일 밝혔다.

화장시설 집중운영기간에는 전국 화장시설별 운영시간이 연장되고 화장회차가 최대로 가동된다.

정부가 지난달 16일부터 화장시설 집중운영기간을 시행하면서 하루 화장수용능력은 지난 11일 기준 1천785건으로 확대됐고, 3일차 화장률은 전국 기준 71.4%로 높아졌다.

지난달 19일에는 3일차 화장률이 20.0%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그 3배 이상으로 높아진 것이다.

그러나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3일차 화장률이 33.0%로 여전히 3일장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59.1%)와 제주(61.5%), 울산(68.0%), 경기(68.1%)도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복지부는 3일차 화장률이 평년 수준인 80% 이상이 될 때까지 화장시설 운영을 관리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관외 화장 수요를 고려해 서울과 부산의 관내·관외 통합예약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 전국 장례식장 등의 안치시설 가동률은 39.6%로 안정적인 상황이지만 서울은 83.7%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또 지난달 중단됐던 개장유골 화장을 오는 16일부터 제한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개장유골 화장은 일반 사망자 화장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화장회차 30% 내에서 할 수 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매년 청명과 한식 시기에 개장유골 화장 수요가 증가하지만, 3월 이후 개장유골 화장이 중단돼 국민 불편함이 많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3년간 3∼4월 개장유골 화장건수는 연평균 1만4천935건에 이른다.

복지부는 전국 화장 시설은 60곳에 불과해, 인구 13만명 이상이 화장로 1기에 의존할 정도로 화장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의 경우 인구가 1천107만1천974명에 이르지만, 화장시설은 2곳(화장로 34기)에 불과하다.

이에 화장로 1기당 수용인구는 32만5천646명에 달한다.

경기, 부산의 화장로 1기당 수용인구는 각각 25만224명, 23만8천822명 수준이다.

이에 복지부는 각 지방자치단체는 인구를 고려해 충분한 화장시설을 갖춰달라고 요청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