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 배우·올로케 '쓰리', 고레에다 연출 '브로커' 모두 '한국영화'
세계화·다원화로 기존 국적 개념 무너져…"한국영화 정의 넓혀야"
감독·배우·제작·투자배급 '복합 국적' 확산…K-무비 범위는
"과연 어디까지를 한국 영화로 볼 수 있을지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한국 스태프들이 해외에 나가서 현지 연기자들과 함께 일하며 만든 영화지만, 이 영화는 한국 영화가 맞습니다.

"
오는 21일 개봉하는 스릴러 영화 '쓰리: 아직 끝나지 않았다'를 연출한 박루슬란 감독은 얼마 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쓰리'는 고려인 4세인 박 감독이 한국인 제작진과 함께 카자흐스탄에서 찍은 영화다.

배우들도 모두 카자흐스탄이나 러시아 출신인 것은 물론, 스토리 또한 구소련 카자흐스탄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일을 바탕으로 했다.

감독이나 제작진 정보를 모르고 본 관객이라면 카자흐스탄 영화라고만 생각할 수 있지만, '쓰리'는 카자흐스탄과 합작한 한국 영화가 맞다.

한국 제작사인 아슬란 필름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다음 달 열리는 제75회 칸국제영화제에서 경쟁 부문에 진출한 '브로커'는 어떨까.

일본의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지만, 이 영화 역시 한국 영화로 분류된다.

국내 영화사인 집이 제작하고 CJ ENM이 투자·배급했다.

송강호, 강동원, 배두나, 이지은(아이유) 등 배우들 역시 한국인이다.

지난달 개봉한 유연석 주연의 스릴러 '배니싱: 미제사건'은 프랑스 영화다.

프랑스인 드니 데르쿠르 감독이 프랑스 스태프들과 함께 한국에서 촬영했다.

감독·배우·제작·투자배급 '복합 국적' 확산…K-무비 범위는
영화의 국적은 일반적으로 투자사, 제작사, 주요 인력 등 투자 및 제작 과정에 기여한 단체나 사람의 국적에 따라 분류된다.

제작사 입장에서 영화의 국적 분류는 개봉, 판권, 수출입, 영화제 출품 등을 위해 꼭 필요한 절차다.

그러나 투자와 제작 환경의 세계화·다양화로 영화 산업에서 국가 간 장벽은 점점 무너지는 추세다.

영화의 국적이 갖는 의미가 희미해진 것이다.

특히 관객 입장에서는 우리 배우가 나오고 한국인들이 공감할 만한 내용이 담긴 영화라면 '한국 영화'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배우 윤여정에게 오스카 여우조연상을 안긴 '미나리'가 좋은 예다.

'미나리'는 배우 브래드 피트가 세운 미국 제작사 플랜B 엔터테인먼트가 만들었지만, 한국계 미국인 감독 정이삭, 배우 스티븐 연과 윤여정, 한예리 등 한국인 배우들이 나선 영화다.

이들이 영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영어가 아닌 한국어다.

내용도 미국에 정착하려는 한인 가족의 이야기로, 한국적 정서가 물씬 느껴진다.

덕분에 미국 소규모 영화로는 이례적으로 국내에서 10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

최근 애플TV+가 선보인 시리즈 '파친코' 역시 미국이 만든 콘텐츠이지만, 한인 이민 가족 4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한국 콘텐츠 못지않게 한국 시청자에게 정서적 유대감이 높다.

감독·배우·제작·투자배급 '복합 국적' 확산…K-무비 범위는
이처럼 영화의 서류상 국적과 관객의 심리상 국적 사이 괴리가 크고, 한국을 소재로 한 해외 콘텐츠가 점점 더 많이 나오는 추세인 만큼 한국 콘텐츠에 대한 정의를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누가' 만들었느냐가 아니라 '누구의' 이야기를 담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배니싱'이나 '파친코' 같은 경우 마케팅을 할 때 굳이 어느 나라 것인지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면서 "소위 K-콘텐츠가 먹히는 시대이기 때문에 만든 사람보다는 콘텐츠가 담고 있는 이야기를 내세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제작진이 해외에서 촬영한 콘텐츠가 늘어나는 것은 한국 제작사의 위상 역시 높아졌다는 것을 뜻한다"고 했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미국은 오래전부터 이민자 출신 감독이 자기 나라 이야기를 담은 영화를 내놓고 있고, 점차 영화의 국적을 가르는 게 별로 의미가 없는 시대가 되고 있다"며 "영화의 국적에 대한 정의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감독·배우·제작·투자배급 '복합 국적' 확산…K-무비 범위는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