鐵·리튬값 폭등에 甲乙 없다…완성차-납품사 '비용 떠넘기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판값 올리며 큰소리
포스코-현대차, 전례없는 '가격 전쟁'
전기차 배터리값도 고공행진
생산이 수요 못 따라가는 상황
배터리 업체에 가격 결정권
완성차는 가격 인상으로 대응
업계 "무한정 올릴 수는 없어"
테슬라는 직접 리튬 채굴 검토
포스코-현대차, 전례없는 '가격 전쟁'
전기차 배터리값도 고공행진
생산이 수요 못 따라가는 상황
배터리 업체에 가격 결정권
완성차는 가격 인상으로 대응
업계 "무한정 올릴 수는 없어"
테슬라는 직접 리튬 채굴 검토

치열했던 車강판 협상, 완성차 ‘선방’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포스코는 올 상반기 자동차 강판 가격 협상에서 t당 가격을 약 15만원 인상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양사는 매년 두 차례 자동차 강판 가격 협상을 했지만 이번 공방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는 후문이다. 철강재 생산의 기본 원료인 철광석과 석탄 가격이 급등해 포스코의 제조원가도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현대차·기아도 순순히 철강업계 요구를 들어줄 수 없는 처지다. 두 회사가 포스코와 현대제철로부터 납품받는 철강재는 연 600만t에 이른다. 자동차 한 대당 들어가는 철강재는 1t 정도인데, 단순 계산하면 t당 25만원 인상 시 약 1조5000억원의 원가 부담이 추가로 생기는 셈이다.
t당 15만원 수준의 인상폭을 두고 업계에선 현대차가 이번 협상에서 원료값 상승 부담을 철강업계에 상당 부분 전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선 포스코가 원료값 상승에도 지난해 역대 최대인 9조2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협상력이 약화됐다는 후문이다.
“업체 간 비용 전가 협상전 치열”
전기차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 협상 상황은 조금 다르다. 배터리 주 원료인 리튬 가격이 올 들어 50%가량 폭등했지만 완성차업계는 원재료 인상분의 대부분을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완성차업체들이 가격보다는 일단 배터리 ‘확보’가 우선인 상황에 몰렸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생산 대수=판매 대수’인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간 전기차 주도권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전기차 시장에선 ‘스케일 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대차나 기아 입장에서 배터리 가격 상승분을 언제까지 부담할지는 미지수다. 비용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니켈값이 t당 8만달러일 경우 현대차와 기아를 합친 배터리용 니켈 재료비는 1조56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 등 일부 전기차 생산 업체가 리튬 등 원재료 채굴·정제에 뛰어들 가능성을 내비친 이유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