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제로 코로나' 中의 자승자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현우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제로 코로나' 中의 자승자박](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7.14784965.1.jpg)
며칠 전 중국의 국유 투자은행(IB) 임원 A씨를 만났을 때 들은 얘기다. A씨는 대형 국유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만나는 기업인마다 방역 통제 때문에 공식 목표인 5.5% 경제 성장은 어려울 것이라고 한다”고도 말했다. 사석이라고는 해도 국유기업 임원이 외국인 기자에게 하기엔 수위가 높은 발언이었다. 중국 기업인들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불만이 가감 없이 전해져 왔다.
헷갈리는 방역 메시지
이번 상하이 봉쇄 상황이 대표적이다. 상하이시는 소규모 주거지별로 출입을 통제하는 ‘정밀방역’을 유지하겠다고 하다가 갑자기 ‘단계별 봉쇄’로 전환했다. 이어 1단계인 동부 봉쇄가 끝나기도 전에 시 전역을 봉쇄했다.이 과정에서 한 방역요원은 주인이 격리된 직후 남겨진 반려견을 때려죽였다. 코로나19 음성 증명이 없다고 응급실에 들어가지 못한 노인이 사망하는 일도 발생했다. 식재료 부족에 민심은 최악으로 치달았다. 물류대란을 비롯한 경제적 피해도 전국으로 확산했다. 다급해진 당국은 일부 지역 봉쇄 해제와 생산설비 재가동 계획을 들고나왔다. 심각한 지역은 감염자가 ‘0’이 될 때까지 봉쇄를 유지해온 기존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비춰보면 파격적 조치다.
지난 11일에는 해외 입국자의 격리기간을 상하이와 광저우 등 주요 도시에서 완화한다는 방침도 나왔다. 그러나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틀 뒤 “방역 작업을 느슨하게 할 수 없다”며 제로 코로나를 다시 강조하자 해당 보도들은 주요 매체에서 사라졌다.
심각한 민심 악화
중국의 언론 통제가 심하다고 해도 대다수 국민은 오미크론 변이 특성과 이에 대응한 주요국의 방역정책 완화를 인식하고 있다. 이제는 코로나19 감염 자체보다 밀접접촉자까지 수백 명이 최소 14일 이상 시설에 격리되는 리스크를 더 두려워하는 분위기다. 감염 사실을 숨기는 사례가 나오면서 한순간에 당국의 통제 범위를 넘어서는 대규모 확산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경기 악화는 전염병 확산보다 민심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이미 선전과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 항의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중국이 시 주석의 최대 업적인 ‘코로나와의 전쟁 승리’에서 언제 벗어날 것인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