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풍 부담에도 입법강행 의지 확고…오후 법사위 심사 본격화
당내 우려도 계속…박지현 "속도 중요시하다 방향 잃는 것 아닌가"
검수완박 '풀액셀' 밟는 민주…"돌이킬 수 없다" 속도전
더불어민주당은 19일 이른바 '검수완박(검찰수사권 완전박탈)' 입법 속도전의 스퍼트를 끌어올렸다.

당내 일각의 잇따른 '제동'에도, 기세를 몰아 4월 임시국회에서 검찰개혁 입법의 종지부를 반드시 찍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어제 검찰 수사권 분리 입법 절차에 돌입했다"며 "이제 검찰 기능의 정상화는 돌이킬 수 없는 길로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전날 법사위 소위에 검수완박법(검찰청법·형사소송법 개정안)을 상정, 이날 오후 본격 심사를 앞둔 것을 강조하며 재차 입법 강행을 예고한 것이다.

김성환 정책위의장도 "검찰은 퇴직 시 전관예우로 많은 돈을 벌어왔던 그 특권과 관행을 놓치기 싫어 (입법에) 저항하고 있다"며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는 필연적으로 가야 할 길"이라고 주장했다.

원내 지도부는 이날부터 원내대표실 백드롭(뒷걸개)도 교체했다.

새 백드롭에는 '권력기관 개혁, 흔들림 없이 국민과 함께'라고 적었다.

'국민과 함께'라는 문구는 입법 강행을 둘러싼 당 안팎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자칫 입법 독주로 비치면서 검찰개혁이라는 명분은 잃고 오히려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역풍만 맞을 수 있다는 부담감 때문으로 읽힌다.

전날 정책위원회 산하에 형사사법선진화 TF(태스크포스)를 설치한 것도 입법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해석된다.

단순히 검수완박을 넘어 장기적으로 권력기관 전반을 개혁하는 청사진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진성준 원내수석부대표가 이날 회의에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서 검찰의 수사권·기소권 분리 문제에 대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토론하겠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검수완박 '풀액셀' 밟는 민주…"돌이킬 수 없다" 속도전
지도부 일각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전날 발언을 두고 사실상 검수완박에 힘을 실어준 것이라는 반응이 나오는 것도, 법안 처리를 앞둔 여론전의 하나라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전날 김오수 검찰총장과의 면담에서 검수완박 입법에 검찰이 반발하는 상황에 대해 "개혁은 검경의 입장을 떠나 국민을 위한 것이 돼야 한다.

국회의 입법도 그래야 한다"고 말했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시기는 조정해야 하지 않느냐는 뉘앙스가 (문 대통령 발언에) 깔린 것 아니냐'는 질문에 "시기 조정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며 속도조절론을 일축했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만약 국회의 입법 절차에 문제가 있다면 청와대에서 우리에게 입장을 전달해 왔을 것이지만 따로 연락받은 게 없다"며 "(법률안 거부권을 쥔) 대통령이 고민은 할 수 있겠지만 국회가 결정한 부분에 대해서 존중할 것으로 본다"고 기대했다.

당장 이날 오후 법사위에서 속전속결식 법안 심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강행 반대파'의 목소리도 여전히 이어졌다.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검찰개혁이 모든 현안을 빨아들이고 있다"며 "속도를 중요시하다가 방향을 잃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2일 의원총회에서도 "검찰개혁은 분명히 해야 하지만 방법과 시기는 충분히 더 논의해야 한다"며 의원들에게 '재고'를 요청했다.

채이배 비상대책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검찰개혁 합시다.

하지만, 하려면 국민을 위해 제대로 합시다"라며 "현재 발의된 법안은 보다 완결성 높은 검찰개혁 법안으로 반드시 다듬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