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첫 성과보수펀드가 출시 5년 만에 시장에서 사라진다. 금융당국이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 제도까지 손질해가며 도입한 펀드지만, 정작 자자와 판매사의 외면으로 자리를 잡지 못했다.

19일 트러스톤자산운용에 따르면 '트러스톤정정당당성과보수펀드'는 다음달 중 청산 절차를 밟는다. 2017년 6월 출시된 이 펀드는 국내 최초 성과보수펀드 중 하나였다. 트러스톤자산운용은 같은날 성과보수펀드를 출시했던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달리 자기자본 50억원을 직접 투자하며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투자자들의 지속된 외면에 지난달 말부터 펀드에 투자했던 자기자본을 회수했다. 운용자산이 50억원 미만의 자투리펀드가 되자 청산을 결정했다.

성과보수펀드는 금융당국의 공모펀드 활성화 정책 일환으로 나온 상품이다. 투자자들은 펀드에서 손실이 나도 운용사가 운용수수료를 따박따박 떼어가는 것에 대해 불만이 컸다. 이에 금융당국은 운용수수료를 낮추는 대신 수익률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초과수익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 성과보수를 떼는 방식의 펀드를 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꿨다. 기존엔 5억원 이상의 투자자를 대상으로만 성과보수를 뗄 수 있었는데, 2017년 5월 자본시장법 시행령을 바꾸면서 모든 고객으로부터 성과보수 수수료를 걷을 수 있도록 했다.

금융당국이 제도까지 변경하면서 선보인 성과보수펀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다. 우선 판매사들부터 소극적이었다. 운용사가 성과보수를 따져 수수료를 매기려면 투자자 수익을 일일히 계산해야 한다. 판매사를 통해 개별 펀드 가입자가 언제, 얼마나 펀드에 투자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파악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된 셈이다.

사모펀드의 경우 투자자 수가 49명 이하로 정해져 있지만 공모펀드는 투자자 규모가 훨씬 크다. 한 자산운용사 임원은 "은행들은 투자자 수익을 계산하는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했지만 증권사는 그렇지 않았다"며 "판매사 입장에서 펀드를 팔 수록 귀찮은 일이 많아지다보니 판매를 꺼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트러스톤정정당당성과보수펀드와 미래에셋배당과인컴30성과보수펀드의 판매사는 KB국민은행 한 곳에 불과하다. 같은날 출시된 삼성EMP글로벌로테이션성과보수펀드 역시 신한은행 한 곳에서만 판다.

투자자들로부터도 외면 받았다. 판매 초기부터 성과보수펀드 자체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도 높지 않았다. 투자자들마다 성과보수펀드가 높은 수익을 안겨줄 수 있을 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졌다.

공모펀드 자체에 대한 관심이 쪼그라든 영향도 컸다. 상장지수펀드(ETF) 등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늘어난 데다, 코로나19 이후 개별주식 성과가 워낙 좋다보니 성과보수펀드에 눈을 리는 투자자들이 많지 않았다.

성과보수펀드 자체의 수익률도 저조한 편이었다. 트러스톤정정당당성과보수펀드는 최근 3년 수익률이 21.45%(A클래스 기준)로, 액티브 국내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26.81%)를 밑돈다. 미래에셋배당과인컴30성과보수펀드는 최근 3년 수익률이 6%대에 머물렀다. 삼성EMP글로벌로테이션성과보수펀드 역시 같은 기간 7%대의 수익률에 그쳤다.

현재 국내에 출시된 성과보수펀드는 총 10개다. 그중 운용설정액이 10억원이 넘는 펀드는 총 6개다. 이마저 모두 자투리펀드(50억원 미만)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업계에선 나머지 성과보수펀드 역시 청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책임운용을 이유로 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새 공모펀드를 출시하기 위해선 자기자본 2억원을 3년 이상 투자하게 한 것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새로운 펀드를 출시하려면 자기자본 2억원을 투자해야 한다"며 "결국 기존 자투리펀드를 청산해 자기자본을 마련한 뒤 다른 펀드를 출시하는 쪽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