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단체장 2명·시의원 8명·기초의원 67명
대구 시민단체, 6·1 지선 출마 부적격 명단 공개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구 시민단체들이 현역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중 출마에 부적격하다고 판단한 이들의 명단을 공개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와 대구경실련 등 10개 단체는 19일 대구YMCA 백심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년간 대구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활동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단체장 중에서는 배기철 동구청장과 김대권 수성구청장이 각각 다주택 소유와 내부 정보를 활용한 연호지구 땅 투기 의혹으로 부적격자로 지목됐다.

앞서 배 청장은 자신이 소유한 상당수 주택이 정부가 장려한 '민간 임대 주택'이라 해명한 바 있고, 김 구청장의 땅 투기 의혹은 경찰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이에 대해 이들 단체는 "임대 사업자가 동구청장이란 공직을 수행하는 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수성구청장의 경우 부구청장 시절 땅을 구입해 공직 윤리에 어긋난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시의원 중에서는 시정질문을 하지 않거나 부동산 문제, 자질 논란 등에 연루된 총 8명(국민의힘 7명·더불어민주당 1명)이 명단에 올랐다.

기초의원은 구정질문 0회 등 의정활동 미흡과 부동산 문제, 음주운전 적발, 공직선거법 위반 등을 이유로 총 67명이 지목됐다.

정당 별로 국민의힘 40명, 민주당 22명, 무소속 5명으로 나타났다.

지역 별로는 달서구가 17명으로 가장 많았고, 북구 12명, 동구 12명, 남구 7명, 달성군 6명, 중구 5명, 서구 4명, 수성구 4명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 4년 동안 구청장(군수)을 상대로 구정 질문을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구(군)의원만 52명에 달했고, 음주운전 등 일탈 행위자는 26명이나 됐다.

이들 단체는 "각종 일탈 행위와 부실 의정활동은 실망스러운 수준"이라며 명단 공개 이유를 밝혔다.

이어 "각 정당은 오늘 발표한 명단을 확인해 제대로 된 일꾼을 유권자에게 내세우길 바란다"며 "이번에 빠진 예비 후보자 중에서도 부적격자가 있다면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