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심 스카이라인 확 바뀐다…녹지공간 15% 확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세훈 시장, 고밀복합개발+녹지확대 '녹지생태도심 전략' 발표
낙후된 종묘~퇴계로 일대 통합형 정비사업 우선 추진
높이,용적률 등 건축규제 완화,공공기여로 공원 및 녹지 조성
낙후된 종묘~퇴계로 일대 통합형 정비사업 우선 추진
높이,용적률 등 건축규제 완화,공공기여로 공원 및 녹지 조성
서울 사대문 도심이 고층 빌딩과 공원 등의 녹지공간이 어우러진 녹지생태도심으로 탈바꿈한다. 심하게 낙후된 종묘~퇴계로 일대(세운재정비촉진지구)부터 우선적으로 고밀복합개발을 추진하고, 중심부에는 연트럴파크형 선형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고밀‧복합 개발과 녹지공간 확보를 동시 추진해 활력이 떨어진 서울도심을 대전환하겠다"며 이같은 내용의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내놨다. 서울시는 건축물 높이(90m 이하)와 용적률(600% 이하) 등 기존 건축규제를 과감하게 완화하고, 그 대가로 얻는 공공기여 부분을 공원과 녹지로 조성해 도심 전체를 녹지로 연결해 나갈 방침이다.
오 시장은 "고밀‧복합 개발을 통해 업무‧상업‧문화시설은 물론 주거공간까지 확보해 평일 퇴근 후 야간시간대와 주말이면 텅 비는 도심이 아니라 365일 활력 넘치는 ‘직주근접 정주도시’로 탈바꿈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서울도심의 녹지율을 15% 이상으로 4배 이상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서울도심의 공원‧녹지 비중은 전체 면적의 3.7%(고궁 포함시 8.5%)에 불과하다. 이는 미국 뉴욕 맨해튼(26.8%), 영국 센트럴 런던(14.6%) 등 세계 대도시와 비교하면 녹지율이 현저히 낮다. 다른 도시들은 도심의 마천루와 풍부한 녹지를 동시에 확보하는 밑그림을 가지고 도심 개발을 추진했지만 서울은 녹지확보에 대한 고민없이 개발이 이뤄졌다는 지적이다. 또 지난 10여 년간 보존 중심 정책으로 일관해 낙후성을 벗지 못하고 있다.
우선 ‘종묘~퇴계로 일대’ 44만㎡부터 재정비를 시작한다. 이후 동서로 1가부터 8가까지, 남북으로 율곡로에서 퇴계로까지 서울도심 전체를 ‘녹지생태도심’으로 만들 계획이다.
서울도심을 지역별 특성에 따라 3개 구역으로 구분해 ‘신규 정비구역’은 종묘~퇴계로, 동대문‧DDP 일대 등 낙후‧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곳들로 고밀‧복합 개발을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광화문~시청 일대 이미 재개발이 끝난 구역(기시행 정비구역)은 공개공지 재구조화나 벽면녹화, 입체녹화 등을 통해 녹지공간을 확보한다. 한옥밀집지역이나 인사동‧명동 같이 특성에 맞는 관리가 필요한 구역은 '특성관리구역'으로 정해 녹지보행가로나 거점형 녹지쉼터 등을 조성한다.
‘신규 정비구역’인 종묘~퇴계로 일대는 민간 재개발을 집중 추진한다. 선도사업으로 종묘~퇴계로 일대 44만㎡를 우선 재정비한다. 현재 '서울도심 기본계획'에 따라 90m로 제한된 건축물 높이를 구역 여건을 고려해 재조정하고, 최고높이도 공공기여와 연계해 완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한다. 또 600% 이하(도심부 일반상업지역 기준)로 제한된 용적률도 시민을 위한 개방공간을 더 제공할 경우 완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녹지공간 확보를 위해 블록별로 최소 1개 이상 공원을 조성하고, 공원과 공원은 녹지 보행로 등으로 연결할 방침이다. 또 연결된 녹지는 인근 지역까지 확산해 도심 전체를 순환하는 녹지 네트워크로 구축한다.
종묘~퇴계로 일대는 잘게 쪼개져 지난 10년 간 재개발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채 방치돼 왔다. 3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 비율이 94%에 달하고, 화재에 취약한 목조 건축물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들 지역은 세운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됐고, 전체 171개 정비구역 중 사업 미추진 147개 구역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일몰제 적용으로 일괄 정비구역 해제에 직면해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이들 147개 구역을 20개 내외 정비구역으로 재조정해 통합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구역 내에 빈틈 없는 녹지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블록별 공원을 조성한다. 또 공원 지하공간을 통합개발해 지상 차량 진출입로를 최소화하고, 도로는 필수구간만 남기고 선형녹지로 만들 계획이다. 충분한 녹지공간 조성을 위해 건폐율을 축소해 추가적으로 높이를 완화하는 방법도 적극 추진한다.
종묘~퇴계로 일대 선도사업이 완성되면 ‘연트럴파크’(3만4200㎡)의 4배가 넘는 약 14만㎡의 공원‧녹지가 조성된다.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녹지축이 완성된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서울시는 올 하반기까지 공론화 및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상위계획인 '서울도심 기본계획'과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하반기부터 구역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는 목표다.
이 날 오 시장은 “오랜 기간 정체되어 온 서울도심은 기존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방향과 전략이 필요하다"며 " ‘녹지생태도심’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보존과 규제 그늘에 가려져 있던 ‘원도심’을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미래도심’으로 재창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상미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고밀‧복합 개발과 녹지공간 확보를 동시 추진해 활력이 떨어진 서울도심을 대전환하겠다"며 이같은 내용의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내놨다. 서울시는 건축물 높이(90m 이하)와 용적률(600% 이하) 등 기존 건축규제를 과감하게 완화하고, 그 대가로 얻는 공공기여 부분을 공원과 녹지로 조성해 도심 전체를 녹지로 연결해 나갈 방침이다.
오 시장은 "고밀‧복합 개발을 통해 업무‧상업‧문화시설은 물론 주거공간까지 확보해 평일 퇴근 후 야간시간대와 주말이면 텅 비는 도심이 아니라 365일 활력 넘치는 ‘직주근접 정주도시’로 탈바꿈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서울도심의 녹지율을 15% 이상으로 4배 이상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서울도심의 공원‧녹지 비중은 전체 면적의 3.7%(고궁 포함시 8.5%)에 불과하다. 이는 미국 뉴욕 맨해튼(26.8%), 영국 센트럴 런던(14.6%) 등 세계 대도시와 비교하면 녹지율이 현저히 낮다. 다른 도시들은 도심의 마천루와 풍부한 녹지를 동시에 확보하는 밑그림을 가지고 도심 개발을 추진했지만 서울은 녹지확보에 대한 고민없이 개발이 이뤄졌다는 지적이다. 또 지난 10여 년간 보존 중심 정책으로 일관해 낙후성을 벗지 못하고 있다.
우선 ‘종묘~퇴계로 일대’ 44만㎡부터 재정비를 시작한다. 이후 동서로 1가부터 8가까지, 남북으로 율곡로에서 퇴계로까지 서울도심 전체를 ‘녹지생태도심’으로 만들 계획이다.
서울도심을 지역별 특성에 따라 3개 구역으로 구분해 ‘신규 정비구역’은 종묘~퇴계로, 동대문‧DDP 일대 등 낙후‧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곳들로 고밀‧복합 개발을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광화문~시청 일대 이미 재개발이 끝난 구역(기시행 정비구역)은 공개공지 재구조화나 벽면녹화, 입체녹화 등을 통해 녹지공간을 확보한다. 한옥밀집지역이나 인사동‧명동 같이 특성에 맞는 관리가 필요한 구역은 '특성관리구역'으로 정해 녹지보행가로나 거점형 녹지쉼터 등을 조성한다.
‘신규 정비구역’인 종묘~퇴계로 일대는 민간 재개발을 집중 추진한다. 선도사업으로 종묘~퇴계로 일대 44만㎡를 우선 재정비한다. 현재 '서울도심 기본계획'에 따라 90m로 제한된 건축물 높이를 구역 여건을 고려해 재조정하고, 최고높이도 공공기여와 연계해 완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한다. 또 600% 이하(도심부 일반상업지역 기준)로 제한된 용적률도 시민을 위한 개방공간을 더 제공할 경우 완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녹지공간 확보를 위해 블록별로 최소 1개 이상 공원을 조성하고, 공원과 공원은 녹지 보행로 등으로 연결할 방침이다. 또 연결된 녹지는 인근 지역까지 확산해 도심 전체를 순환하는 녹지 네트워크로 구축한다.
종묘~퇴계로 일대는 잘게 쪼개져 지난 10년 간 재개발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채 방치돼 왔다. 3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 비율이 94%에 달하고, 화재에 취약한 목조 건축물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들 지역은 세운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됐고, 전체 171개 정비구역 중 사업 미추진 147개 구역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일몰제 적용으로 일괄 정비구역 해제에 직면해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이들 147개 구역을 20개 내외 정비구역으로 재조정해 통합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구역 내에 빈틈 없는 녹지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블록별 공원을 조성한다. 또 공원 지하공간을 통합개발해 지상 차량 진출입로를 최소화하고, 도로는 필수구간만 남기고 선형녹지로 만들 계획이다. 충분한 녹지공간 조성을 위해 건폐율을 축소해 추가적으로 높이를 완화하는 방법도 적극 추진한다.
종묘~퇴계로 일대 선도사업이 완성되면 ‘연트럴파크’(3만4200㎡)의 4배가 넘는 약 14만㎡의 공원‧녹지가 조성된다.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녹지축이 완성된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서울시는 올 하반기까지 공론화 및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상위계획인 '서울도심 기본계획'과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하반기부터 구역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는 목표다.
이 날 오 시장은 “오랜 기간 정체되어 온 서울도심은 기존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방향과 전략이 필요하다"며 " ‘녹지생태도심’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보존과 규제 그늘에 가려져 있던 ‘원도심’을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미래도심’으로 재창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