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트기 전 가장 어두운 시기…하반기부터 증시 박스피 탈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석달째 코스피 지수가 2600~2700선을 맴돌고 있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지금이 동트기 전 가장 어두운 시기”라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늦어도 올 하반기부터 ‘박스피’에서 벗어나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증시가 다시 반등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 의견이다. 전문가들은 반도체와 2차전지 소재, 신재생에너지, 조선, 지주사 등을 상승 예상 업종으로 꼽았다.
21일 코스피 지수는 0.35% 상승한 2728.21에 마감했다. 지난 1월 3000선에서 2600선까지 급 하강한 이후 세달 째 박스권에 머물러있다. 전문가들은 한두달 간 지수는 박스권에 갇혀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진단했다. 인플레이션과 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우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일부 지역 봉쇄 등 각종 악재들로 인해 지수가 박스권 상단을 뚫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안정환 BNK자산운용 부사장은 “당분간 2600선으로 내려오면 매수세가 들어오고 2800선까지 올라서면 매도세가 강해지는 박스권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도 “당분간 지수가 빠질 때 매수하고 박스권 상단에서 파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부터 증시 분위기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증시를 짓누르는 악재는 이미 다 노출된만큼 하반기부터는 악재가 해소될 시기라는 것이다. 윤석모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분기 증시가 온갖 불확실성의 시기였다면 2분기에는 불확실했던 악재의 실체가 드러났고, 하반기부터는 악재가 해소되는 과정을 거치며 박스피를 탈출하려는 시도가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 Fed의 0.5%포인트 금리 인상 여부는 이미 국채 금리와 증시에 상당히 반영돼있는 상태다. 미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8.5% 급등하자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마무리되면 급등했던 원·달러 환율이 안정되는 한편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한국 무역 수지도 흑자로 돌아설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가 다시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5월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직후부터 지수가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도 많았다.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는 “5월 미 Fed가 ‘빅스텝 정책(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발표하고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지수는 반등을 시도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하반기를 내다보는 투자자라면 4월은 2700선 근처에서 지수가 하락할 때마다 계속 주워담아야 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반도체 업종이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성한 신한자산운용 알파운용센터장은 “미래 수익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게 삼성전자 주가에 반영된 상태”라며 “현 주가수익비율(PER)이 9배 정도로 내려와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과도하게 싸졌다”고 말했다. 하반기 외국인이 다시 포트폴리오에 한국을 담는 과정에서 삼성전자를 사면 주가도 다시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밖에도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투자가 구조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올해도 실적이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2차전지 소재, 수주가 늘어나고 있는 조선, 절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주사·제약 업종 등을 추천했다.
반면 조정받을 수 있는 업종으로는 리오프닝(경제재개) 업종이 꼽혔다. 최근 경제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관련 업종 내에서 순환매가 빠르게 돌면서 기대감이 과도하게 선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이경수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금융이나 정유, 원자재 업종도 조정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투자자들이 가장 유의해야할 요소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 여부가 꼽혔다. 윤 센터장은 “공급자 측의 인플레이션 자극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미 Fed의 금리 인상 속도를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성미/배태웅/서형교 기자
“악재는 다 노출됐다…하반기부터 해소”
21일 코스피 지수는 0.35% 상승한 2728.21에 마감했다. 지난 1월 3000선에서 2600선까지 급 하강한 이후 세달 째 박스권에 머물러있다. 전문가들은 한두달 간 지수는 박스권에 갇혀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진단했다. 인플레이션과 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우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일부 지역 봉쇄 등 각종 악재들로 인해 지수가 박스권 상단을 뚫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안정환 BNK자산운용 부사장은 “당분간 2600선으로 내려오면 매수세가 들어오고 2800선까지 올라서면 매도세가 강해지는 박스권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도 “당분간 지수가 빠질 때 매수하고 박스권 상단에서 파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부터 증시 분위기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증시를 짓누르는 악재는 이미 다 노출된만큼 하반기부터는 악재가 해소될 시기라는 것이다. 윤석모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분기 증시가 온갖 불확실성의 시기였다면 2분기에는 불확실했던 악재의 실체가 드러났고, 하반기부터는 악재가 해소되는 과정을 거치며 박스피를 탈출하려는 시도가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 Fed의 0.5%포인트 금리 인상 여부는 이미 국채 금리와 증시에 상당히 반영돼있는 상태다. 미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8.5% 급등하자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마무리되면 급등했던 원·달러 환율이 안정되는 한편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한국 무역 수지도 흑자로 돌아설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가 다시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5월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직후부터 지수가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도 많았다.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는 “5월 미 Fed가 ‘빅스텝 정책(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발표하고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지수는 반등을 시도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하반기를 내다보는 투자자라면 4월은 2700선 근처에서 지수가 하락할 때마다 계속 주워담아야 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반도체, 2차전지 소재, 조선 업종 매력”
전문가들은 하반기 반도체 업종이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성한 신한자산운용 알파운용센터장은 “미래 수익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게 삼성전자 주가에 반영된 상태”라며 “현 주가수익비율(PER)이 9배 정도로 내려와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과도하게 싸졌다”고 말했다. 하반기 외국인이 다시 포트폴리오에 한국을 담는 과정에서 삼성전자를 사면 주가도 다시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밖에도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투자가 구조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올해도 실적이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2차전지 소재, 수주가 늘어나고 있는 조선, 절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주사·제약 업종 등을 추천했다.
반면 조정받을 수 있는 업종으로는 리오프닝(경제재개) 업종이 꼽혔다. 최근 경제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관련 업종 내에서 순환매가 빠르게 돌면서 기대감이 과도하게 선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이경수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금융이나 정유, 원자재 업종도 조정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투자자들이 가장 유의해야할 요소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 여부가 꼽혔다. 윤 센터장은 “공급자 측의 인플레이션 자극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미 Fed의 금리 인상 속도를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성미/배태웅/서형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