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풀브라이트 장학생 선발 등 사업 운영·정책결정 권한

김인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가족이 모두 풀브라이트(Fulbright) 장학사업 혜택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장학생을 선발하는 한미교육위원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 논란 한미교육위원단은 어떤 단체
28일 교육계와 위원단에 따르면 한미교육위원단(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은 한·미 양국 정부의 재정지원을 바탕으로 문화·교육교류 사업을 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미국은 1946년 제임스 풀브라이트 전(前) 의원의 제안으로 외국인의 미국 유학과 미국인의 외국 유학을 돕는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를 만들고 현재 세계 160개국과 함께 운영하고 있다.

역사가 깊고 장학금 액수가 커 장학생 선발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인철 후보자를 비롯해 한국에서는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병만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이현재 전 국무총리, 한승수 전 국무총리, 황우여 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이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았다.

장학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는 자국에서 선발한 장학생을 미국 풀브라이트 해외장학이사회에 추천해 장학금을 받도록 하는데 한국 국적의 장학생 선발은 한미교육위원단이 담당한다.

위원단은 한국 정부가 임명하는 5명과 미국 정부가 임명하는 5명 등 10명의 위원으로 이뤄져 있다.

위원장은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공사참사관이 맡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교육부와 외교부 관계자가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나머지 위원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국민 혹은 미국 국민으로서, 교육자이거나 양국의 교육 교류 활동에 이해가 깊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는데 주로 학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왔다.

위원단 누리집에 따르면 위원들은 장학생 선발이나 한국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운영을 관리하고, 위원단이 해외장학이사회의 운영지침에 따라 모든 정책 결정과 최종 선발 결정을 한다.

교육부에서는 풀브라이트 장학사업을 위해 한 해 4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미국 정부가 부담하는 지원금보다 많은 액수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장학생 선발 절차가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 교육부는 교육부 관계자가 위원단 구성원 중 한 명일 뿐 정부가 사업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미교육위원단은 이밖에 미국 교육평가원(ETS)이 주관하는 토플(TOEFL)과 GRE 시험장 운영을 하고, 양국 학문과 학계를 위한 자문역할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